녹색연합, 30일 정치 없고 선거만 있는 정국 비판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2017년 5월 22일, 청와대는 4대강 관련 대통령 업무지시를 발표했다. 그 중 하나가 4대강 재자연화를 위해서 반드시 실시해야 할 가뭄, 홍수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않는 보는 철거해야 한다는 것이 쟁점이었다.
![]() |
윤곽이 드러난 MB정부의 국책사업중 하나인 4대강 정책실패, 부패 토목공사의 전형인 4대강 사업이 망친 우리 강을 더는 두고 볼 수 없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확고한 의지가 반영된 결과로 바로 실천하도록 지시했다.
16개 보 수문을 상시 개방해 망가진 강의 자연성 회복을 확인하고, 2018년까지 보 처리방안을 확정해 2019년에 4대강 재자연화로드맵을 시행하겠다는 내용이다.
하지만 2년이 지난 지금, 어떠한 결과물도 없다.
이에 대해 녹색연합은 30일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대통령의 공약과 의지는 여전히 선명하는데. 대한민국 국토 환경을 대하는 대통령의 입장과 달리, 정책 집행은 불투명하고 지지부진하다고 거듭 촉구한다.
녹색연합측 기자회견을 통해 한강과 낙동강의 보 상시 개방 모니터링은 요원하고, 보 처리방안을 마련하는 작업도 잠정 중단된 상태다. 정치적 손익계산에만 골몰하는 일부 청와대 참모진과 우리 강 살리기에 태업 중인 환경부의 발목 잡기가 문 대통령의 정치를 흔들고 있다고 비판하고. 정치는 없고 선거만 있는 불행한 정국이라고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이에 4대강재자연화시민위원회와 한국환경회의는 대통령의 확고한 공약과 의지에 발목 잡는 일부 청와대 참모진과 환경부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통해 정치권에서 보철거와 재자연화 아름다운 강으로 다시 회복시킬 수 있도록 요청할 방침이다.
한편 2018년 3월 범시민사회 진영 181개 단체가 모여 다시한번 4대강 재자연화를 촉구하고, 지지부진한 현 정부를 추동할 '4대강재자연화시민위원회'를 발족했다.
이와 관련, 4대강 찬동한 인사중에는 여전히 4대강 당위성과 MB정부의 두둔하는데, 언론 칼럼, 인터뷰 등을 통해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