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리 5.6호기 중단 후쿠시마 재앙 정책에 박수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좋은에너지 vs, 더러운 에너지' 캠페인 전개중이다.
환경운동연합(공동대표 권태선 박재묵 장재연 사무총장 염형철)은 파푸아뉴기니 코네바다 바닷가에서 개최중인 지구의 벗 아태지역 회의(8.5~8.10)에 참가중인 지구의 벗 소속 단체들이 9일 '신고리 .5,6호기 건설 백지화'를 요구하는 집회를 가졌다고 전했다.
지구의 벗은 기후정의/에너지 프로그램을 통해 좋은 에너지를 촉진하고 더러운 에너지를 더 이상 생산하지 말자는 '좋은에너지 vs, 더러운 에너지(Yes! good energy vs No! bad energy)'캠페인을 펼치고 있다.
![]() |
▲파푸아뉴기니에서 회의 중인 지구의 벗 아태지역 단체 활동가들이 ‘신고리 5, 6호기 건설중단’ 자국어 피켓을 들고 집 회에 참여하고 있다. |
딥티 바타나가르(Dipti Bhatnagar)) 지구의 벗 기후정의·에너지 프로그램 코디네이터는 "문재인 정부의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20% 확대, 그 과정에서 신규 석탄화력발소 9기 건설 중단 임기 내 검토는 지구의 벗 캠페인 내용과 매우 흡사하다."며 "세계 환경운동가들에게 한국은 화력발전소·핵발전소 고밀집도 국가로 인식돼 있다. 이 인식을 불식시키려면 에너지정책 전환이 불가피하다."고 언급했다.
후쿠시마 사태를 보며 지구의 벗 일본 에너지 캠페이너로 뛰어든 아유미 후카쿠사(Ayumi Fukakusa)는 "나는 아직 20대다. 내가 노인이 되어 선대가 쓰고 버린 해답없는 핵폐기물 처리를 위해 고군분투한다는 것은 세대간 정의에도 맞지 않다."며 "핵에너지 의존도를 2016년 현재 30.8%에서 2030년 18%까지 줄이기 위해 신규 6기 핵발전소 건설 계획 취소, 공정율 30%의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은 후쿠시마 재앙을 겪고 나서도 정책변화 없는 일본과 매우 대비된다."며 한국정부의 선명한 정책에 박수를 표했다.
집회에 참석한 지구의 벗 소속 단체들은 하나같이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은 한국정부, 시민, 기업의 시대적 소명이다. 더 이상 안전하지 않은 핵에너지로의 의존은 촛불 시민의 지향점과 다르다."며 기꺼이 연대를 표시해줬다.
환경운동연합 김춘이 처장은 "촛불 시민이 이룩한 쾌거에 문재인 정부가 응답하는 이런 모양새는 전세계 각국 정부가 배워야 할 자세다."면서 "특히 각국 환경단체 동료들이 이번에 발표한 문재인 정부의 에너지 정책을 자국 정부에 사례로 이야기하겠다고 하는 것을 듣고 한국정부의 책임있는 정책 이행이 꼭 뒤따라야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번 회의에 참가한 지구의 벗 소속단체는 일본, 러시아, 인도네시아, 스리랑카, 말레이시아, 네팔, 팔레스타인, 필리핀, 호주, 파푸아뉴기니 아태지역 8개 단체, 남미의 코스타리카, 우루과이 2개 단체, 아프리카 모잠비크 1개 단체 모두 약 20명의 활동가가 참석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