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VDC 기술개발 통한 신성장 동력 및 해외진출 기반
산학연 지속적 협조 기술 국산화 및 해외진출 도모
[환경데일리 윤경환 기자]KEPCO 한국전력(사장 조환익)은 14일 고창전력시험센터에서 문봉수 한전 전력계통본부장, 송재성 한국전기연구원장 직무대행, 김동국 한국전기공사협회 상무이사 등 한전 및 사내외 산학연 관계자 220명 참석해 '±500kV HVDC 2 Bi-pole 실증선로 준공식'을 시행했다.
한전은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해 66kV, 154kV, 345kV 그리고 초고전압인 765kV 등 송전방식 기술혁신을 거듭해 왔지만, 앞으로는 송전설비를 보다 주민 친화적으로 개선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한전은 2014년 HVDC를 전담하는 신송전사업처를 신설하고, 기존 송전방식보다 철탑 및 전력선 크기가 작아 사회적 수용성이 큰HVDC 500kV 방식을 도입해 EP프로젝트에 적용할 예정이다.
이번에 준공한 실증선로는 국내 최초로 도입되는 ±500kV HVDC 가공송전사업의 기술 자립화를 위한 연구설비로 그동안의 해외기술교류, 국제기준분석,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한 철탑· 전선· 절연· 전기환경· 기자재 설계가 반영돼 구축됐다.
이 선로의 실증을 통해 각종 설계 및 기자재를 검증할 계획이며 이는 HVDC 가공송전사업의 기술적 리스크를 사전 예방해 설비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큰 의미를 갖는 것.
그리고 세계적으로도 처음 적용되는 도체귀로방식의 ±500kV HVDC 2 Bi-pole 선로로서 산악지형에 인구밀도가 높은 국내 환경에 적합한 Compact형 송전방식이다.
이번 준공식에 참석한 사외 한 관계자는 "국내 사업뿐만 아니라 동북아 슈퍼그리드 등으로 HVDC 활용도가 높아지는 세계적인 추세에 본 실증선로는 국내 기술자립을 위한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이며, 산학연의 지속적인 협조를 통해 기술 국산화 및 해외진출을 도모했으면 한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한전은 앞으로도 성공적인 국내 HVDC 가공송전사업을 위해 노력 할 것이며, 향후 설계, 기자재 및 시공기술 최적화를 위한 산학연 기술교류의 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용어설명
직류(DC)는 (+) pole(극)과 (-) pole(극)으로 구성되며, (+),(-)pole을 합쳐 Bi-Pole 이라 하며, Bi-pole이 2개여서 2 Bi-pole라 칭.
±500kV DC 2Bi-pole 방식은 기존 AC 765kV 방식 대비 철탑 크기가 75% 수준 전력선도 2/3 수준으로 줄여 COMPACT 化함
EP(East West Power Grid) 프로젝트 : 동해안 발전력을 수도권으로 전송하기 위한 HVDC 건설 프로젝트로 2021년 12월 준공계획.
도체귀로방식 : 한쪽 변환소에서 다른 변환소로 전력선으로 보낸 전류를 도체(중성선)을 통해 다시 귀로시키는 방식, 대지귀로방식은 한쪽 변환소에서 다른 변환소로 전력선으로 보낸 전류를 대지를 통해 다시 귀로시키는 방식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