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도자 의원, "식중독 원인 알아야 예방대책도 세울 수"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최근 5년간 발생한 식중독 사고는 1815건으로, 이로 인한 식중독 환자 수는 총 3만7880명에 달했다.
이 가운데 원인규명이 되지 않은 식중독 사례만 1324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바른미래당 최도자 의원이 식약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식중독 환자 수는 1만1622명으로 2017년 식중독 환자(5649명)의 2배 이상 에 달했다.
▲최도자 의원 |
식중독 발생유형별로 보면, '생선회류'에 의한 식중독이 149건(896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서 조리과정, 사람 간 감염 등 식품 외 요인이 54건(1542명), 김치류 34건(3111명) 육류(돼지) 27건(1382명) 순으로 식중독 보고가 많았다.
원인균종별로 보면, '노로바이러스'가 295건(6054명)으로 식중독균 중 가장 많이 확인됐으며, 이어서 병원성대장균(239건, 1만1441명), 원충(132건, 727명), 살모넬라(98건, 6166건) 등이 주요 식중독 원인균종으로 꼽혔다.
한편, 원인 역학조사를 통해 원인식품, 조리과정 문제, 사람 간 감염 등 발생 원인이 확인된 식중독 사고는 고작 491건에 불과했다.
식중독균 발생 원인을 알 수 없는 '불명'건수는 1324건으로 전체 식중독 보고(1815건)의 약 73%를 차지했다.
최도자 의원은 "식중독균의 정확한 발생 원인을 알아야 식중독 확산을 막고, 사후 예방대책도 세울 수 있다."고 지적하면서 "원인규명을 위한 관계당국 간 신속대응체계를 강화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