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수소충전 배관망 63km 구축 계획
충전소 구축 인허가권 특례 한시적 도입 추진
[환경데일리 추호용 기자]수소가스도 도시가스처럼 끊임없이 공급한다
환경부는 12월 30일 울산시 남구 신화로 101에서 국내 최초 배관을 통해 수소 공급을 받는 울산 투게더 수소충전소 준공했다.
울산 투게더 충전소는 수소 생산공장에서 배관(1.3km)을 연결해 수소를 공급받는 국내 첫 번째 사례로, 일본 기타큐슈와 미 캘리포니아 토런스에 이어 3번째로,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수소공급이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충전용량은 1일 770kg(55kg/시간, 14시간 운영)으로 하루 수소차 130여 대의 충전이 가능해 울산지역 수소차 이용자의 편의가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시 수소배관망 구축 계획에 따라 2030년까지 도심에 수소 배관이 총 연장 63km 길이로 구축되면 도심 곳곳에 배관 이송방식의 수소충전소가 구축될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대형차량(튜브 트레일러)으로 공급하던 수소를 배관을 통해 대량 이송함으로써 차량 운송비용을 절감하고 대형차량 주차공간이 필요 없어 좁은 부지에 충전소 구축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환경부는 그린뉴딜 추진계획에 따라 2022년까지 도심에 250기, 고속도로에 60기 등 총 310기의 충전소를 구축, 수소차 운행자들이 충전에 불편이 없도록 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범부처 수소충전소 전담반 등을 통해 관계부처 간 역량을 집중하고, 신속한 인허가를 위해 충전소 구축 인허가권 특례를 한시적으로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그린벨트 내 기존부지 소유자만 수소충전소 설치가 가능하게 했던 제약을 개선하는 등 수소충전소 입지 확대를 위한 관련 법령도 정비하고 있다. 2021년부터 수소연료구입비를 지원해 만성적인 운영적자를 해소해 민간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예정이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주거, 교통, 산업 전반에서 수소경제가 꽃을 피울 수 있도록 수소배관망을 우선 확충하고, 울산 전역에서 10분 이내에 접근할 수 있도록 수소충전소 건설 확대와 정밀 모니터링 안전관리 시스템 적용으로 2030년에는 세계 최고 수소도시의 모습을 보여드릴 계획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