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3만506TOE(2009년 9월~2017년 12월) 에너지 감축 성과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국립산림과학원이 밝힌 2013년 온실가스 산정방식 적용을 보면, 30년산 소나무 1그루는 연간 6.6kg 이산화탄소 흡수 또는 30년산 소나무 1ha는 연간 10.77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것으로 연구결과를 냈다.
시민의 자발적 참여를 동력으로 하는 서울시 대표 에너지절약 시민운동인 '에코마일리지'가 회원 200만명을 돌파했다. 서울시민 5명 중 1명이 '에코마일리지' 회원인 셈이다.
회원 수 증가는 에너지 감축으로 이어졌다. '에코마일리지'에 동참한 서울시민 한명 한명의 적극적인 에너지 절약 실천이 모여 지금까지 총 93만506TOE(2009년 9월~2017년 12월) 에너지 감축 성과를 거뒀다. 당진화력발전소 1기(약 92만TOE/기)가 1년 동안 생산하는 양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줄인 효과다.
온실가스 배출량으로 보면 총 약 193만7000톤의 이산화탄소(CO2) 배출을 줄이는 효과가 있었다. 여의도 620배 면적에 숲을 조성하거나 30년산 소나무 2만9349만 그루를 심은 것과 맞먹는 효과다.
지난한 해 동안 감축한 온실가스 배출량은 11만9863톤(6만3384TOE)으로, 30년산 소나무 1816만 그루를 식재한 효과를 거뒀다.
감축한 에너지를 돈으로 환산하면 6145억원에 달했다. 같은 기간 서울시가 에코마일리지 인센티브 지급 등에 총 500억원의 재정을 투입한 것과 비교하면 투자 대비 정책 효율이 매우 뛰어난 것이다.
전기(필수), 도시가스, 수도, 지역난방 가운데 두 종류 이상의 에너지 사용량을 6개월 단위로 직전 2년간의 같은 기간 평균 사용량과 비교해 5% 이상 절감한 회원에게 에너지 절감률에 따라 마일리지가 차등 지급된다.
황보연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200만명이 넘는 서울시민이 에코마일리지에 동참하면서 화력발전소 1기분의 에너지를 줄일 수 있었다."며 "앞으로 이러한 시민들의 에너지 절약 노력이 친환경 생활 습관으로 정착되도록 시민과 소통해 더욱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