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서 9월 23일부터 28일까지
'미래의 물 안보 향상' 6대 주제
K-water, 대구시, KDI, KEI, 물포럼 참석
가뭄 홍수 등 아시아 물 문제 논의
물 문제 해결 참여 촉구 성명 발표 예정
한국형 수자원을 기반한 고도화된 물관리 기술력이 한판 승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환경부는 23일부터 28일까지 베이징에서 열리는 '제3차 아시아국제물주간'에 참가한다.
아시아국제물주간은 아시아 최대 규모의 물관리 정책 협의체인 아시아물위원회(회장 윤석대, K-water 한국수자원공사 사장)가 3년 주기로 개최하는 아시아의 대표적인 물 관련 국제회의다.
이번 회의는 '미래의 물 안보 향상(Enhancing Our Future Water Security)' 주제로 중국 수리부와 아시아물위원회가 공동으로 주최한다.
이번 회의는 이승환 환경부 물이용정책관이 우리나라 대표로 참석 한다. 회원국으로는 리 궈잉(Li Guoying) 중국 수리부 장관을 비롯해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캄보디아 등 아시아 장차관이 참여한다.
환경부는 23일 베이징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아시아물위원회 이사회에 이사 자격으로 참석한다.
이사회는 올 5월 인도네시아에서 개최된 제10차 세계물포럼의 성과와 제3차 아시아국제물주간의 준비현황 및 차기 개최지를 공유하고, 아시아의 물 문제를 해결 논의가 진행된다.
24일 3차 아시아국제물주간 개회식을, 워터프로젝트 비즈니스 포럼에 참석해 우리나라의 물관리 정책을 공유한다.
특히 국제 기후 위기 대응을 주제로 '아시아 물 문제 해결 기조 세션'에서 키워드다. 아시아권 모두의 공통 문제인 6대 소주제인 물관리 디지털전환, 물재해, 식량과 에너지통한 물자원화, 생태계보전 물관리 등 관련 현안을 파악해 협력을 확대할 방안을 논의한다.
25일에 중국 수리부와 양국 물분야 전문가들은 '제23회 한중 수자원·하천 기술협력회의'가 5년 만에 열린다.
우리측 환경부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하천 정책, 홍수 및 가뭄 재해 예방 대책과 같은 공동관심 분야의 기술 발표와 정책 발전방향 논의 등을 공개한다.
K-water측은 수자원 및 하천 분야에서 중국과 긴밀한 협력을 이어갈 예정이다.
이번 개회식에서 윤석대 수자원공사 사장은 "전 세계적으로 물 문제를 심화시키고 있다."며 "이로 인해 가장 큰 피해 지역 한 곳은 아시아"라며 취약함을 인정했다. 윤 사장은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물 분야 협력은 국제 사회의 과제"라며 "아시아물협의회(AWC)는 물 문제 솔루션의 선도적인 플랫폼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SDG 6 글로벌 가속화 프레임워크에 기반한 수자원 행동 의제를 달성하기 위한 제3차 AIWW에 전 세계 수자원 부문의 모두 환영한다."고 메시지를 전달할 예정이다.
이승환 환경부 물이용정책관은 "이번 아시아국제물주간에서 기후변화에 취약한 아시아의 물관리 방안을 논의하겠다."며 "국내 고도화된 물관리 기술을 활용해 각국의 물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데 여러 나라들과 협력을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환경데일리 = 김영민 기자]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