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 사업계획 25개 지자체 선정, 2년간 지원
저탄소 도시모델 발전‧확산 전문가 자문단 구성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국민 91%의 주거개선이 시급한 탄소중립 도시를 만들기 위한 첫 걸음 내딛는다.
환경부는 8월 19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6동 회의실에서 한국환경공단 등 산하기관과 9월 중 공모 예정인 '스마트 그린도시'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지원단 구성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첫 회의를 갖는다.
이번 참여 기관은 한국환경공단(K-eco), 한국수자원공사(K-water), 한국환경산업기술원(KEITI) 3개 기관이다.
그린뉴딜 핵심 사업 중 하나인 '스마트 그린도시'사업은 도시의 기후변화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생활공간의 녹색전환을 목표로 우수한 사업계획서를 제안한 25개 도시를 공모를 통해 선정, 2021년부터 2년간 사업비용을 지원한다.
스마트 그린도시 사업은 기후·환경위기 시대에 도시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해 지자체가 주도하는 환경현안 진단 및 맞춤형 녹색전환을 지원한다.
이번 사업 공모를 통해 우수 사업계획서를 제안한 25개 지자체를 선정, 2년간 사업비용 국고지원(보조율 약60%)한다.
지자체 사업설명회는 8월27일, 이어서 공모는 9∼11월까지다. 최종 사업선정은 올 연말에 확정된다.
그동안 환경부는 6월부터 도시 및 지역 환경전문가와 4차례에 걸쳐 포럼 및 간담회를 열고 세부적인 사업 추진 방향을 검토했다.
특히, 지역의 아이디어 발굴지원과 자문제공을 위한 지원단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이번 업무협약을 마련했다.
환경부는 9월에 국내 도시·환경분야 전문가들과 '스마트 그린도시 전문가 자문단'을 구성해 탄소중립 도시의 본보기를 비롯해 다양한 확산 방안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병화 환경부 정책기획관은 "기후변화에 대한 위기는 이제 먼 미래가 아닌 우리 눈앞에 다가왔다."라며, "탄소중립 사회의 시작은 이제 국민의 91%가 거주하는 도시의 체질 개선에서 비롯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스마트 그린도시는 지역이 주도하는 도시의 녹색전환을 위한 첫 걸음이 되고 환경부와 지원단은 이를 위한 가교역할을 맡을 것"이라며, "스마트 그린도시는 도시공간을 중심으로 그간의 환경부 정책을 종합하는 최초의 사업인만큼 환경부와 산하기관이 힘을 모아 지역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