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수소버스 보조사업 물량 대폭 상향
30년까지 수소차 30만대 보급 목표 달성
수소차 보급, 생산ㆍ공급ㆍ충전 기반 시급
서울 등 일부 지역 주민 반대 발전소 난항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수소충전 기반 시설 거점화가 녹록치 않다. 수소산업 발전이 절대적인 충전탱크 설비 조성에 관련 지역 주민들이 반대가 거세다. 이유는 만의 하나 우려될 수 있는 폭발때문이다.
환경부는 3월 3일에 현대차, 한화솔루션, 일진하이솔루스, 지자체, 수소충전 기자재 개발 생산 업체 등과 간담회장에서 이런 분위기가 그대로 드러났다.
회사 관계자는 "수소는 폭발력이 높기 때문에 이런 여론으로 충전저장탱크 시스템 자체를 거부하는 지자체 주민들이 많아서 애로사항에 처해 있다."고 토로했다.
지난해 서울시 강동구 수소 발전소 3·4기인 고덕청정에너지와 암사연료전지 추가 건립을 놓고 인근 주민들과 마찰이 컸다.
부산시 사하구 장림동 일대에 세계 최대규모의 수소발전소 건설 사업 역시 주민 결사반대로 주춤한 상황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현실적으로 돌파해야 할 해법들이 많다."며 "충분한 안전기술확보된 만큼 충전 관련 기반 시설은 우려할 만큼은 아니다."고 말했다.
이와 달리, 한화진 장관은 2일 인천 서구에 소재한 세계 최대 규모(연간 3만톤)의 수송용 액화수소 생산시설 구축 현장을 점검했다.
인천 액화수소 생산시설은 SK E&S에서 2021년 7월부터 약 6000억원을 투입 설치되고 올 11월부터 본격적으로 액화수소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그간 환경부는 지자체, 민간기업, 운수사업자 등과 수소버스 전환 업무협약 등을 통해 수소차 전환수요를 적극적으로 발굴했고, 수소차의 편리한 충전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2022년부터 40개소의 액화수소충전소 설치를 지원해왔다.
환경부는 수소버스로의 전환을 본격 추진하기 위해 내년에 수소버스 보조사업 물량을 올해 700대에서 대폭 상향했다.
국내 버스 시장의 규모가 정해져 있는 점을 감안해 천연가스 버스, 전기버스의 보조사업 물량은 수소버스 보급과 연계 조정해 나갈 예정이다.
한화진 장관은 "2030년까지 수소차 30만대 보급 목표 달성을 위해 수소차 보급, 수소 생산ㆍ공급ㆍ충전 기반시설 선순환 구조를 구축해 나가겠다."며 "인천 액화수소 플랜트와 액화수소충전소가 준공되면 수소차 보급 목표 달성을 뒷받침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
▲국내 수소발전 사업을 위한 민관 관계자들이 참석한 수소발전방향 토론회는 비공개로 진행했다. 이유는 수소발전소 건립 등 추진 에 해당 지역주민들이 동의가 부족해서다. |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