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32개 하수처리장 물 관련 신기술 개발 실증화 시설로
해외시장, 성과공유제, 구매조건부 신제품 개발 실적 인정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국내 물산업 클러스터가 탄력을 받기 위해서는 필수조건은 중앙정부와 지자체간의 현장실험 등 기술개발 협력이다.
이를 위해 환경부와 K-eco 한국환경공단은 18일 부산 등 5개 광역시 산하 지자체 환경공단과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이번 참여에는 부산환경공단을 비롯해 대구환경공단, 인천환경공단, 광주환경공단, 대전광역시시설관리공단이 참여한다. 다만 전국 6개 광역시 중 산하 환경공단이 없는 울산광역시는 참여하지 못한다.
이번 협약은 국가물산업클러스터에서 실증화 실험을 마친 입주기업은 5개 광역시의 물관련 32개 환경기초시설(하수처리시설)에서 현장 적용 실험을 할 수 있게 된다.
기술 개발에서 성능검증, 사업화, 해외시장 진출까지 물기업 전주기 지원을 위해 대구국가산업단지 내 조성한 시설로 2019년 7월부터 한국환경공단에서 위탁 운영 중이다. 32개 환경기초시설(하수처리시설)의 규모는 1,000m3/일부터 최대 900,000m3/일까지로 다양하여 기술의 신뢰성 검증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국가물산업클러스터 실증화 시설은 정수의 경우 최대 2,000m3/일, 하·폐수 및 하수처리수(물재이용 실험용)는 최대 1,000m3/일 이다.
전국에 분포한 하수처리시설을 실증화 시설로 사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국가물산업클러스터 입주기업은 관련 물기술의 우수성을 확인하고 신뢰도를 높이는 계기로 활용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국가물산업클러스터 사업단은 실증화 실험을 거친 우수기술의 해외진출 및 국내 판로개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업도 함께 추진한다. 실증화 실험이 기술인증을 통한 판매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해외시장이나 중소기업벤처부가 추진하는 성과공유제, 구매조건부 신제품 개발사업에서 실적을 인정하는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특히 해당 사업을 통해 중소기업이 개발한 신제품을 수요기관이 구매하는 것을 조건으로, 중소기업은 신제품 개발에 착수하고 수요기관은 개발 비용을 지원한다.
환경부는 이번 협약을 기점으로 실증화 시설 활용뿐 아니라 국가물산업클러스터 입주기업 홍보 및 판로지원, 기술교류 등 물산업 발전과 기업지원을 위해 5대 광역시와 지속적으로 협력할 예정이다.
김동진 환경부 수자원정책국장은 "국내 물기업의 우수한 기술이 바탕이 되지 않으면 우리나라 물산업은 발전하기 어렵다."라며, "국가물산업클러스터를 통해 물기업의 우수한 아이디어가 기술로 구현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장준영 한국환경공단 이사장은 "이번 협약이 국내 물기술의 신뢰성과 우수성을 입증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면서 "기술 개발 환경조성을 위해 지속해서 지자체와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