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계 위협 붉은불개미 국내 더 유입 증가
철저 검역 역학조사 통해 생태계 보호해야
박해철 의원, 불개미 발견 늘어 대책 시급
가시박 등 외래식물 전국 점령, 예산 역부족
환경부, 생태계 위협 국민 피해 예방 한계
전국 곳곳 토종식물까지 고사, 지자체 손놔
붉은불개미까지 국내 상륙하면서 자칫 환섬덩굴, 가시박, 돼지풀 꼴날라? 우려가 현실이 되고 있다.
붉은불개미의 국내 발견 빈도가 증가하면서 생태계와 국민 안전까지 위협하고있다.
국회환노위 소속 박해철 의원(안산시 병)은 올해 붉은불개미 발견 빈도가 크게 늘고 있다고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이번 22대 국감에서 다뤄질 외래종 국내 잠식 현안 중 하나로 떠오르고 있다. 박 의원은 심각성을 고려해서 관계기관이 철저한 검역을 통해 붉은불개미 유입을 막고 생태계 보호를 위해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환경부에서 제출받은 붉은불개미 국내 발견 현황자료 근거로 대책을 촉구했다.
대부분은 중국으로부터 유입되고 있다. 2021년 3건(총 1051 마리)정도로 국내 유입되던 붉은불개미가 3년이 지난 올 8월 기준으로 3264 마리(6건)가 발견됐다.
세계자연보호연맹(IUCN)은 붉은불개미를 100대 악성 침입 외래종 중 하나로 분류한 상태다. 이유는 강한 번식력과 환경 적응력이 매우 뛰어나기 때문이다.
이 땅에는 총 539종이 외래식물로 확정돼있다. 외래식물인 산을 뒤덮어 더 이상을 손을 쓸수 없을 매우 강력한 풀은 단풍잎 돼지풀, 가시박, 미국쑥부쟁이, 환삼덩굴 등이다.
국립생태원은 매년 실태조사와 퇴치 연구비를 하고 있다.
하지만 예산을 턱없이 낮아 사실상 손을 놓은 상태다. 광역시도와 기초지자체 역시 외래동식물 퇴치를 예산은 빙산의 일각 수준에 머물러 번식 범위를 따라갈 수 없는 수준까지 방어선인 임계선을 넘었다.
수도권 지자체 대부분은 지역환경시민단체 활동가들과 외래종 퇴치 작업에 나서지만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만큼 실효성은 없다고 했다. 일부 지자체는 "이미 손을 놓은 상태"라고 푸념했다.
특히 DMZ 비무장지대까지 유입돼 청정지역으로 분류할수 없을 날도 멀지 않았다. 심지어 청정섬이라는 제주도까지 외래종이 침범했다.
경기도, 충남북, 경상권, 강원도 등도 정부예산을 포함 국도비는 생태계서비스측면에서 불과 전체 예산중 3%도 안된다고 전했다.
국립공원공단, 산림청의 주 업무 중 하나인 외래종 실태파악과 퇴치에도 한계에 도달했다. 유해충인 붉은불개미는 더 심각해질 수 있다는 우려다.
앞으로 농작물과 전기 시설물에 큰 피해를 줄 수 있고, 독성은 장수말벌보다는 약하지만 꿀벌보다 높은 수준, 꼬리독침으로 물리면 통증과 염증을 유발한다. 심하면 면역체계가 떨어진 사람들은 알레르기 반응(현기증, 호흡곤란, 과민성 쇼크)을 보인다.
환경부는 생태계 위협과 국민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방역 당국과 적극적인 방역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 역시 한계가 있다.
항공, 선박 등 화물 등으로 유입경로가 정해져 국내 유입 자체를 차단할 수 있다. 하지만 공항 항만 문제는 검역와 검색 시스템이 미흡하다. 사람 육안으로 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렇다보니 2021년 이후 현재까지 발생한 17건 중 유입경로가 확인된 건은 4건에 그쳤다. 즉, 어떤 화물이나 관광객 소지품 등에 섞여서 들어와서 잡아낼 수 없다.
박해철 의원은 "올해 붉은불개미 발견 빈도수가 2021년 대비 3배 가량 증가한 만큼 유입경로 확인은 철두철미한 방역과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붉은불개미가 국내 생태계에 정착시 생태계 혼란과 농업 및 국민적 피해도 뻔하다."며 "검역 체계를 강화하고 외래종 유입 차단에 묘책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립생태원은 외래생물 신고센터(041-950-5407)를 상시 운영하고 있다. 생태계교란 생물 등 외래생물을 발견할 경우 곧바로 신고해줄 것으로 요청하고 있다. [환경데일리 = 김영민 기자]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