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인천시 주최, GreenEnerTEC 전시
탄소중립 대응 플라스틱 대체물질 확산
친환경·바이오 플라스틱 업계 판로 개척
친환경 플라스틱 바이오 순환경제 목표
인천대 총장 "탈플라스틱 바이오 논의"
탈플라스틱 시대를 앞당기기 위한 인천 최대 탄소중립·신재생에너지 전문 전시회를 오픈을 앞두고 있다.
'2024 그린에너텍(GreenEnerTEC 2024)'이 30일 송도컨벤시아에서 '2024 국제 친환경 플라스틱 컨퍼런스'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인천광역시가 주최하며, 인천대,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한국플라스틱산업협동조합, 한국석유화학협회가 주관사로 참여했다.
이번 컨퍼런스는 플라스틱 대체 물질의 개발과 상용화 확산을 통해 탄소중립에 기여하기 위해서다.
주최측은 국내 친환경·바이오 플라스틱 업계의 글로벌 판로 개척을 목표로 잡았다.
인천대 박종태 총장은 "글로벌 기업들과 전문가들이 모여 탈 플라스틱 대응 방안과 바이오 순환 경제 실현을 위한 혁신적인 기술과 다양한 해결책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글로벌 친환경 플라스틱 시장의 혁신 기술 및 정책을 논의한다.
국내외 글로벌 소재사, 제조 업체 및 단체에서 1000여 명이 참여해 친환경소재 시장 확산을 위한 네트워킹의 장이 마련될 예정이다.
30일 개막식에는 박종태 총장, 국회 산자위 소속 정일영 의원(인천 연수구을), 인천시 유제범 미래산업국장, 바이오플라스틱협회 진인주 회장, CJ제일제당 이승진 고문 생분해성 소재 전략, 글로벌 인증업체 TÜV Austria의 Shehu Maria담당의 신규 카본 인증에 대해 발표로 행사가 시작된다.
세션에는 글로벌 친환경 소재사 Novamont사 국제홍보 책임자인 Franz Kraus가 '순환 경제와 바이오플라스틱' 발제한다.
프랑스 Total Energies Corbion사의 Shi Yaoqi제품개발담당의 중국 시장에서의 친환경소재 전망을, 중국 친환경 화학소재 대기업인 Kingfa사의 Jianjun Li 부회장의 '바이오플라스틱 응용 제품의 과거와 미래' 주제로 강연한다.
이번 행사는 일본, 태국, 대만, 베트남 바이오플라스틱협회 협회장 및 사무총장을 초빙했다.
해당 국가의 '친환경 플라스틱 관련 인증 및 규제 현황 소개'와 '국가별 시장 진입 전략‘ 발표를 통해 대한민국 친환경 플라스틱 업계에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이후 네트워킹 행사를 통해 대한민국 친환경 플라스틱 업계의 국가 경쟁력 강화를 모색하고자한다.
마지막으로 브라질 바이오플라스틱 소재업체인 Braskem사의 Frederico Akira Campos 아시아총괄의 '바이오 에탄올 기반 BIO PE', SK Leaveo 최달병 부사장의 '친환경 솔루션 차별화 전략'도 공개한다.
또한 BBCA BIOCHEMICAL & FUTERRO PLA의 한국 판매 총괄인 (주)AMC사의 배종석 실장의 '작물 부산물을 활용한 신규 PLA'를 마지막으로 강연을 마친다.
특히, 대한민국 바이오플라스틱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행사 이후 아시아 바이오플라스틱 협회장 간담회도 마련된다.
이자리에서 '아시아-태평양 바이오플라스틱 글로벌 연합체' 구성에 대한민국 바이오플라스틱협회(협회장 진인주)가 주도적으로 참여한다.
주최측은 다가오는 11월 국제 플라스틱 감축을 위한 부산에서 5차 총회를 앞둔 만큼 이번 행사는 국내 최대 환경 분야 R&BD인프라를 보유한 환경산업 기업에 집결한다."고 많은 관심을 당부했다.
컨퍼런스 관련 정보는 공식 홈페이지(www.greenenertec.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10월 29일까지 사전 등록 시 무료 입장이 가능하다. 문의 사무국(02-565-0501) [환경데일리 = 고용철 기자]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