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한국환경공단 공동 수소충전소 부지 발굴
내년 신규사업 1차 80곳, 연말까지 200곳 제공
![]() |
▲최근 열린 수소모빌리티 전시장을 찾은 효성그룹 조현준 회장, 롯데그룹 신동빈 회장, 현대차그룹 정의선 회장, SK그룹 최태원 회장이 수소 미래도시 건설 전시부스를 찾아 설명을 듣고 있다. |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수소경제 활기를 불어넣은 키워드는 수소충전소 부지 확보가 관건이다.
이에 대해, 환경부는 12일 한국환경공단 연구용역사업으로 발굴한 수소충전소 후보 부지 1차분 80곳을 한국환경공단 누리집(www.keco.or.kr)에 공개한다.
민간에서 내년도 수소충전소 설치사업을 하루빨리 준비할 수 있도록 연말까지 단계적으로 총 200여 곳의 부지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그동안 환경부는 수소충전소 구축을 가속하기 위해 다각적인 방안을 추진해 왔다. 입지규제 개선, 신속한 인허가를 위한 의제 처리 등 관련 제도를 개선했고, 민간사업자 부지 발굴의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해 기존 주유소, 액화석유가스(LPG) 충전소, 국공유지 등에서 후보 부지를 선별했다.
핵심은 입지조건이다. 환경부는 올해부터 도시공원지역(주차장 내 충전소 설치), 그린벨트지역(차고지 내 충전소 설치 가능), 자연녹지지역(기존 LPG 건폐율 20 → 30% 상향) 등으로 완화했다.
부지발굴을 위해 장관이 사업자의 수소충전소 설치계획을 승인 할 경우 수소충전소 설치 관련 인허가를 받은 것으로 간주했다.
이를 통해 부지 확보를 위한 개별 사업자의 노력을 줄이고, 사업추진 중에 부적합한 부지를 변경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등 수소충전소 구축 기간도 줄일 수 있게 됐다.
이번 부지 발굴은 관계부처.유관기관의 협업, 전산 분석 및 현장조사 등 체계적인 검토 과정을 거쳐 추진됐다.
우선 관계부처와 유관기관에서 부지 정보를 협조받아 약 17만7000개 후보 부지 목록을 확보하고, 지리정보시스템(GIS)을 통해 진출입 조건 등을 검토해 약 7만 8000개의 후보지를 선별했다.
![]() |
▲한국가스공사(KOGAS)가 설계한 수소생산기지와 충전소 모델 |
이를 공간분석(영상)과 토지이음(www.eum.go.kr) 시스템 조회를 통해 수소충전소 입지 관련한 규제조건을 면밀하게 분석해 약 450곳을 도출하고, 최종 현장조사를 거쳐 이번에 1차분 80곳을 공개했다.
이번 공개된 부지는 교육환경 보호구역(학교로부터 200m 이상), 문화재 보호구역(500m 이상), 용도지역지구(개발제한구역 등), 도시계획시설(완충녹지, 하수도 등) 검토 등이 포함됐다.
수소충전소 구축사업자는 연구용역을 통한 검토사항 이외에 해당 토지 소유자와 협상, 지자체와 협의 및 주민 소통 등을 거쳐 내년도 신규사업 공모에 참여할 수 있다.
김승희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은 "2022년에 수소충전소를 전국에 310기 이상 균형 있게 설치하며, 되도록 규모가 큰 수소충전소를 구축해 경제성도 확보할 계획이다."며, "이번에 공개한 자료가 민간에서 내년도 수소충전소 설치를 일찍 시작할 수 있도록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포스코가 선보인 수소자동차 컨셉트카 |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