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발생 폐기물 94% 재활용 전환
UL Solutions사의 '실버' 등급 획득
제품 전과정 기업활동 자원 순환추진
100% 플래티넘 등급 검증까지 잰걸음
[환경데일리 유혜리 기자]플라스틱 용기 사용이 압도적으로 많은 화장품 업계를 자원순환경제로 리더하는 아모레퍼시픽이다. 폐기물 제로(ZERO)화에 빠른 성과를 내고 있다. 이미 지난해에 선언한 폐기물 최종 처분 단계인 매립으로 가는 생산 사업장의 폐기물을 '0'에 가깝게 줄여 순환 경제를 구축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이 ESG경영 목표 첼린지인 '2030 어 모어 뷰티풀 프로미스(2030 A MORE Beautiful Promise)' 선언을 통해 ▲고객 및 사회와의 동행 ▲대자연과의 공존이라는 두 축으로 5대 약속을 밝혔다.
아모레퍼시픽에 따르면 22일 오산 뷰티파크가 국내 화장품 업계 최초로 폐기물 매립 국제 검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발생된 폐기물량 4292톤 중 4043톤을 순환자원화를 추진해 94%의 재활용 전환율로 응용 안전 과학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UL Solutions사로부터 실버 등급을 받았다고 공개했다.
아모레퍼시픽이 획득한 폐기물 매립 제로 검증(ZWTL, Zero Waste To Landfill)은 사업장 배출 폐기물을 순환 자원화해 순환 경제 구축 개념의 ESG경영으로 촉진시키고 있다.
UL사의 평가 규격는 까다롭다. 우선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재활용 수준에 대한 면밀한 평가 및 검증, 재활용률에 따라 실버(90∼94%), 골드(95∼99%), 플래티넘(100%) 등급을 부여하는 검증이다.
아모레퍼시픽은 폐기물 자원화를 위한 환경운영지수를 자체 개발해 폐기물 배출 감량과 재활용률을 등의 목표를 관리한다. 사규에 따라 폐기물 수집 운반 및 처리 업체에 방문 정기평가를 실시해 협력업체가 적법한 규제에 따라서 폐기물 처리를 진행하는지 확인하는 등 폐기물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번 검증을 획득한 아모레 뷰티파크는 543㎡(164평)규모의 폐기물 재활용센터에서 생산활동 중 발생된 폐기물을 21종으로 분류하고, 12가지의 자원순환 방식으로 재활용한다. 사업장 폐기물 매립 제로화를 위해 지정폐기물로 소각하던 실험용 유리병을 세척해 유리로 재활용하기도 한다.
2021년부터는 기존에 매립하던 폐기물인 분진 폐기물 중 절반 이상을 아스팔트 등 도로공사의 기초 공사용 토사로 재활용하고 있다. 또한 전 임직원이 함께 할 수 있는 '잔반 줄이기 캠페인'을 실시해 1인당 잔반량을 전년 동기 대비 6% 절감하는 등 임직원의 친환경 인식 향상에도 힘쓰고 있다.

다 쓴 화장품 공병을 회수해 자사 제품 용기나 업사이클 캠페인인 '그린사이클'에 사용해 제품 포장재 폐기 시 환경에 미치는 영향 역시 줄여 나가고 있다. 운송 단계는 택배 상자 속 제품을 보호하기 위해 넣는 비닐 재질의 에어캡, 일명 '뽁뽁이' 대신 FSC 인증을 받은 종이 소재의 완충재로 대체해 사용한다.
컬러 코팅 때문에 재활용이 어렵던 택배 상자는 크래프트 박스로 전환해 운송 과정에서 쓰이는 플라스틱 사용량을 기존 대비 70% 이상 절감하고 있다.
앞으로도 아모레퍼시픽은 전 사업장의 폐기물 발생량을 줄이기 위한 인프라를 조성하고, 매립 또는 소각되는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방법을 연구하며, 폐기물 관리 프로세스 개선 및 구성원 참여형 캠페인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제품 개발과 사용에 따른 폐기물 등 기업활동 전 과정에서 자원이 순환할 수 있도록 지속가능한 공급망을 구축하고 폐기물에 의한 온실가스 간접배출량을 절감할 계획이다.
UL Solutions사측은 지속가능성은 필수지만, 우리가 매우 중요하게 초점을 두는 것은 지속가능성, 순환성, 공급망 투명성을 UL인증까지 까다롭게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