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세종정부청사서 2022년 세계 물의 날 기념
물 전체 아우는 미래상 제시 물 가치 창출 강조
홍조근정 이상진 금강유역물관리위원장 받아
근정포장 배덕효 한국수자원학회장 영예 수상
국민 관심도 제고 국민 참여 홍보 활동 펼쳐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3월 22일은 물의 소중함과 물의 가치를 다시한번 되새기는 국제적인 행사다.
우리나라는 환경부가 오후 4시부터 세종정부청사 대강당에서 2022년 '세계 물의 날'기념식을 개최한다.
UN은 물 부족과 수질오염을 방지하고 물의 소중함을 되새 기기 위해 1992년 제47차 총회에서 리우환경회의의 권고를 받아들여 매년 3월 22일을 '세계 물의 날'로 선포했다.
우리나라도 물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전 세계적인 추세에 발맞춰 1995년부터 정부 기념식을 개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올해 물의 날 주제는 '하나 된 물, 자연과 인간이 함께 누리는 생명의 물'이다.
올해부터 시행되는 하천관리를 포함한 물관리 일원화를 통해 모든 형태의 물을 포괄적으로 관리해, 자연과 모든 국민이 언제 어디서나 깨끗한 물을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는 취지를 담고 있다. 이는 유엔에서 정한 올해 세계 물의 날 주제인 '지하수,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도록(Ground Water-Making the invisible visible)'을 확장한 것이기도 하다.
올해 물의 날은 물관리 일원화가 완성된 이번 정부의 성과를 알리고, 앞으로의 물관리 정책 방향과 미래 비전을 공유하는 자리가 될 예정이다.
물관리 일원화를 통해 ▲물관리 전체 아우르는 국가물관리기본계획 수립 ▲먹는 물 수질 실시간 관리 스마트 상수도 구축 ▲유기성 바이오에너지 등 수자원 활용 재생에너지로 실현하는 탄소중립 등의 정책 성과를 달성했다. 환경부는 정책 성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물의 가치 창출을 목표로 ▲세계 최고의 스마트한 물 ▲모든 세대와 생명을 위한 물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물을 위한 정책을 중점 추진할 계획이다.
이날 기념식에서 그동안 물 관련 분야 발전 유공자에 대한 정부포상도 실시된다. 홍조근정훈장은 이상진 금강유역물관리위원장이, 근정포장은 배덕효 한국수자원학회장(세종대 총장)이 수상한다.
대통령 표창은 6명으로 경상대 김순오 교수, 한성크린텍 김승종 부사장, ㈜스코트라 김후용 상무, 대전대 배병욱 교수, 충남 서산시, 화진금봉입주자위원회 임성근 입주자 대표가 각각 받게 됐다.
국무총리 표창은 8명으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고동찬 연구원, 전남대 곽인실 교수, 전북연구원 김보국 선임연구원, 엔솔파트너스 김원기 이사, 한국수자원공사 김진곤 차장, 국립환경과학원 김현구 과장, 한국환경공단 이제원 소장, 환경부 조용준 사무관이 받았다.
기념식 중 환경부 장관을 비롯한 정책 관계자들이 국민과 함께 물 정책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질문하고 답변하는 국민참여 공개 회의가 진행된다. 이 자리는 4대강 유역물관리위원장과 각 유역별 물관리 현안에 대해 짚어보고, 전문가와 기업인 등 다양한 분야의 국민들에게 새로운 물의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정책을 제안받고 관계자들이 답변하는 국민참여 정책 논의의 장을 연다.
환경부는 국민의 관심도를 제고 하기 위해 세계 물의 날 의미와 연계한 다양한 국민 참여 홍보 활동을 펼치고 있다. 유튜브 교양.상식 인기채널(사물궁이 잡학지식)과 연계, 국민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물에 대한 지식 콘텐츠를 쉽고 재미있게 제작 3월 17일부터 공개했다.
또한, 3주간 물 절약 미션을 수행하는 다양한 후속 행사가 이어진다. 참가자들의 달성도에 따라 포상을 주는 생활 속 물 절약 도전과 물 관련 퀴즈, 물의 날 기념사진 필터제작, 공식 포스터 공유 행사를 페이스북 등 환경부 SNS에서 진행하고 있다.
한정애 환경부 장관은 "세계 물의 날을 통해 소중한 물의 가치를 다시 한번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면서 "국민이 안전한 환경에서 깨끗한 물을 널리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이고, 물이 탄소중립과 경제적 가치 창출의 핵심 매개체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환경시민단체는 매년 반복된 현상은 여전히 물의 소중함을 망각하고 물사용을 억제하지 못하고 있는 시민들의 생각이 바뀌지 않고 있다. 겨울 봄 가뭄으로 이번 강원 일대 초대형 산불이 그 메시지를 주고 있다며, 정부와 지자체는 국가 차원에 물사용, 물재이용, 물보전에 특별한 대책을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