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옥외광고물 사업 발굴 시작
도시를 황폐화하는 조건 중 하나는 간판이다. 건물 유리에 붙은 글자 그림 LED조명까지 도배되고 있다.
건물 유리창 안팎으로 영업장 외부 노출을 막는 칸막이용 필름 도배, 불법 현수막까지 고층대형 건물을 제외한 대부분의 건물은 옥외광고판으로 변했다. 특히 도로변 거리마다 입체형 돌출형 이동식 간판용 구조물도 사각지대에 방치돼 가로수보다 더 많은 불법간판이 우후죽순으로 설치돼 있다.
이런 사회적 문제로 자동차운행중 시야 방해, 관련 옥외광고 관련 자원 낭비, 도시미관을 해쳐 정서적 안전감을 파괴 훼손까지 이뤄지고 있다.
아름다운 간판 조성 사업을 펼쳐온 서울 종로구 관계자는 "도시간판이 정갈하고 정비가 잘돼 있고, 불법 광고판이 없으면 오히려 시민들이나 자영업들이 더 잘된다."고 말했다.
21대에서 국회에서 옥외불법간판 법개정을 손조차 보지 못한 채 폐기됐다.
경기도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는 지난 23일 옥외광고물 분야 업무협력 강화를 위해 시.구청 담당부서 및 경기도옥외광고협회 고양특례시지부(약칭 고양특례시지부)와 함께 민관합동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간담회는 최근 옥외광고물 관련 법.조례 제개정 등 현안사항을 공유한 자리로 마련됐다.

이 자리에서 2025년 주요사업인 노후.위험간판정비, 시 주관사업 시민참여 공모방식 전환하는 간판이 아름다운 거리 조성을 안건으로 올렸다.
또한 기존 아날로그형 옥외광고시설 및 관리체계의 디지털화 등을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각종 시설물 설치 시 인허가 관련 사전정보 공유 강화와 옥외광고물 안전점검, 주인없는 간판정비, 불법광고물 정비사업 확대 등이 거론됐다.
김명진 도시디자인담당관은 "우리 시가 계속 성장하면서 무질서한 간판 난립, 불법간판의 임의 게첩 등 옥외광고물에 대한 여러 현안들이 계속 발생하고 있다."며 "향후에도 시와 유관기관이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의견을 수렴하고, 옥외광고물을 통해 고양시가 보다 나은 가로경관을 만들어 가도록 꾸준히 개선방안을 찾겠다."고 밝혔다.[환경데일리 = 문종민 기자]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