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장, 생활환경 녹색 전환 핵심 정원 필요 시점"
[환경데일리 고용철 기자]이재준 수원특례시장은 "시민이 함께 만드는 열린 정원인 손바닥정원이 우리나라 정원문화의 본보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수원시가 21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시민형 정원문화가 산업을 이끈다'를 주제로 '2023년 수원시 정원문화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재준 시장은 손바닥 정원이 시민 삶의 어떤 변화에 평온함을 주는지에 대해 강조했다. 이 시장은 "시민들이 함께 정원을 조성하고 가꾸는 열린 손바닥 정원"이라며 "손바닥정원으로 녹지정책의 패러다임을 바꿔보려 한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수원시가 주최하고, (재)수원그린트러스트가 주관했다.
이 자리에서 시민참여형 정원 문화 확산 방안과 발전 방향과 정원 산업 성장 키워드 찾기를 모색했다. 특히 산림정책을 이끄는 남성현 산림청장의 특강과 주제 발제, 토론 등으로 진행됐다.
![]() |
▲남성현 산림청장이 시민 주도형 정원 조성은 도시를 산림의 자원화를 만드는데 큰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남 청장은 '숲으로 잘사는 산림르네상스 시대'를 주제로 "경제가 발전하면서 국민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이바지하는 정원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고 수원시의 푸른 정책을 지지했다.
또 "생활환경의 녹색 전환을 위한 핵심 수단으로서 정원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우리나라에서도 세계적인 정원도시가 나올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어서 각 발제는 '행복하고 건강한 삶을 지원하는 수목원, 식물원, 정원'(진혜영 산림청 국립수목원 전시교육연구과장), '정원도시 서울, 정책사례'(안수연 서울시 푸른도시여가국 조경과장), '수원 정원문화도시 구현방안'(김현 단국대 환경원예조경학부 전임교수) 등을 주제로 진행됐다.
김현 교수는 "수원은 산과 물이 풍부하고 시민 공동체가 구축된 도시"라며 "손바닥정원은 민관 거버넌스를 통해 조성·이용·관리하는 열린 정원"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원문화도시 구현 방안으로 ▲적정 입지 선정, 공간 확대 ▲정원의 기능, 성격, 조성관리 주체 정립 ▲손바닥정원단 확대·육성과 정원문화 확산 거점 구축 ▲사업 추진 거버넌스 구축 등을 제시했다.
김태경 (사)한국조경학회장이 좌장을 맡은 토론에는 윤경선 수원시의원, 이범석 새빛수원손바닥정원단장, 제은혜 산림청 정원팀장, 박은영 중부대 정원문화산업학과 교수, 장현숙 월간가드닝그린쿱협동조합 대표가 패널로 참여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