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 유통사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다양한 참치 활용 제품 출시
국민생선으로 활용도, 영양, 맛 뛰어나, 다양한 형태 활용 용이
[환경데일리 유혜리 기자] 국내 식생활 문화가 급속하게 변하고 있다.
최근 내놓은 통계청 자료에는, 우리나라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1995년 106.5㎏에서 2005년에 80.7㎏으로, 급기야 2015년 기준 62.9㎏으로 뚝 떨어졌다.
이는 다양하고 풍성한 가공식품이 나오면서 불과 20년 만에 40% 가까이 급감했다. 더 이상 쌀이 주식인 시대가 아닌 외식, 간편식 등 다른 메뉴들이 대체하는 시대로 변하고 있다.
국내 유명한 식품 제조사와 유통사들은 발빠르게 쌀 대체시장을 잡기 위해, 우수한 식재료를 활용한 다양한 상품 개발에 한창이다.
대표적으로 참치를 활용한 새로운 식품들이 연이어 출시돼 참치마니아들에게 새로운 관심 제품으로 구매율을 끌어올리고 있다.
기존 참치캔을 통한 밥반찬에서 벗어나, 라면 속에 참치, 김밥 속에 참치, 빵과 버거속에 참치가 들어가는 간편식이 참치 활용 제품의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경쟁이 치열한 편의점 업계에서 참치를 활용한 전용상품이 올해만 4건이 출시됐다.
세븐일레븐은 올 3월, 동원참치를 담은 컵라면인 '동원참치라면'을 출시해 속칭 대박 히트를 쳤다. 곧바로 4월 한 달에만 70만 개가 팔렸다. 출시 7개월만인 10월까지 세븐일레븐 컵라면 판매 1위를 기록했다.
9월 출시한 '동원참치 삼각김밥'은 현재 세븐일레븐 삼각김밥 판매 1위로 효자 상품으로 등극했다.
효과를 본 세븐일레븐은 곧바로 '동원참치버거'를 선보이며 참치 활용 상품의 인기를 이어가고자 하고 있다.
경쟁사인 CU 역시 최근 전용상품으로, 동원참치와 마요네즈소스, 각종 채소를 빵에 담은 '동원참치마요빵'을 출시했다.
제조사 역시 기존 참치캔 외 새로운 제품들을 내놓고 있다. 동원F&B는 올 6월, 라면 토핑용 파우치 참치인 '동원라면참치'를 선보였다. 동원라면참치는 기존 라면과 참치캔 마니아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았던 '참치를 라면에 넣어 먹는 레시피'에 착안해 참치의 용도를 더욱 넓히고자 개발한 제품이다.
동원라면참치는 라면과 배합했을 때 최고의 맛을 내기 위한 비법은 그동안 쌓아온 동원F&B만의 노하우가 고스란히 담아 개발한 참치 제품이다.
3종의 제품별 원료 배합을 각각 달리 했으며, 국물에 풍미를 더해주는 특별소스와 함께 라면의 식감을 살려주는 야채 등도 함께 넣었다. 또한 라면 1개를 끓였을 때 가장 알맞은 양인 65g의 파우치 형식으로 출시해 최적의 라면 토핑용 참치로 만들었다.
동원은 한 발 나아가 안주 통조림인 '동원 포차'를 출시했다. 그 가운데 2종(소시지참치볶음, 베이컨김치볶음)이 참치에 각각 소시지와 베이컨을 함께 볶은 활용한 제품이다. 참치가 술안주 제품으로도 활용되고 있는 것이다.
기존 견과류캔이나 과일캔 등은 간단한 안주로 활용할 수 있지만 요리라고 하기는 어렵다.
반면 '동원 포차'는 캔을 따기만 하면 조리된 안주를 바로 먹을 수 있는 제품이다. 100g 이하의 소단량으로 출시돼 1인분으로 알맞으며 휴대와 보관도 간편하다.
기존 참치캔에 한해 단순한 밥반찬이나 찌개용으로 활용되던 참치가 다양한 형태의 완제품에 활용되어 재탄생하고 있다.
참치는 식자재로서 활용도가 높은 식품이다. 밥 뿐만 아니라, 빵, 면요리 등 다양한 식품원료들과 잘 결합하고 어울려 활용에 있어 용이하다. 실제로 참치는 일상생활에서 김밥, 볶음밥, 참치까스 등 다양한 요리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요리들이 인구구조와 시장 트렌드의 변화에 따라 실제 제품화돼 출시되고 있다.
익히 알려진대로 참치는 고단백 저지방 식품으로 우리 몸 영양소에 도움을 주는 DHA, 오메가3, 셀레늄 등 쉽게 섭취할 수 없는 영양소 공급을 한다.
참치캔이 가진 풍부한 영양성은 2010년 당시 칠레 산호세에서 벌어진 광산 붕괴 사고 사례에서도 찾을 수 있다.
당시 지하 622m에 매몰됐던 33명의 광부는 지하 피신처에서 48시간마다 두 숟가락의 참치와 과자 반 조각, 우유 반 컵을 나눠 먹으며 69일만에 구사일생으로 구조됐다.
참치의 단백질, 과자의 탄수화물, 우유의 지방을 소량이지만 골고루 섭취할 수 있었기에 가능했던 기적인 것이다.
중남미 국가중 미인이 가장 많이 태어나는 베네수엘라는 미인사관학교 '킨타 미스 베네수엘라'는 미녀들의 저녁식사로 참치캔 200g만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독일의 유명 슈퍼모델인 하이디 클룸은 출산 후 8주 동안 참치 샐러드를 먹으며 몸매를 회복하기도 했다. 또한 참치는 면역력을 증강시켜준다는 셀레늄도 풍부하게 들어 있다. 참치캔 150g 한 캔으로 약 120㎍의 셀레늄을 섭취할 수 있는데, 이는 세계보건기구가 발표한 셀레늄의 일일 권장량 (성인 기준 50~200㎍/person/day)에 적합한 수치다.
참치는 국민식품으로, '맛'을 뛰어넘는 호불호가 갈리지 않는다. 1982년 동원F&B가 국내 최초로 참치캔을 출시한 이후, 참치는 참치캔만 단일식품으로 연간 약 4500억 원 시장을 형성할 만큼 국민식품으로 자리하고 있다. 식감도 좋고 특유의 감칠맛을 갖고 있어 남녀노소 모두 즐기는 생선이다.
동원F&B 관계자는 "모디슈머 트렌드, 가정간편식 시장 확대 등 변화해가는 식품시장에서 맛과 영양, 활용도 모두 좋은 참치가 다양한 제품으로 재탄생하고 있다."면서 "앞으로 국내 대표 참치캔 제조사로서, 자체적으로 또는 타사와의 적극적 협업 등을 통해 참치를 활용한 다양한 제품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