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째 이은 내부 승진 전통 뒤집을 명분없어"
▲정의당 추혜선 의원 |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신임 기업은행장 선임을 두고 낙하산 인사라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임기를 하루 남겨둔 김도진 기업은행장의 후임으로 청와대가 반장식 전 청와대 일자리수석을 점찍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정의당 추혜선 의원은 26일 논평을 통해 "금융 공공기관에 낙하산 인사를 통해 관치금융을 행하던 과거로 후퇴하는 것은 아닌지 심히 우려스럽다."고 개탄했다.
추 의원은 "이런 우려는 비단 관료 출신 '낙하산'이기 때문만은 아니다."라며 "금융 관련 경력과 전문성 측면에서도 기업은행 구성원들은 물론 시민사회와 전문가들도 납득하기 어려운 인사라는 목소리가 높다."고 전했다.
또 "10년째 이어지고 있는 내부 승진 전통을 뒤집을 만한 명분을 찾기도 어렵다."라면서 "철저한 검증을 통해 구성원들이 납득할 수 있는 인물이 은행장으로 선임돼야 할 것이다."고 강도높게 요구했다.
이번 논란을 계기로 기업은행장 선임 절차를 개선하는 것도 필요하다는 것이 금융노조지부의 한 목소리다.
기업은행장은 금융위원장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고 있는데, 2017년 금융행정혁신위원회는 금융회사의 지배구조 개선 방안의 하나로 임원(후보)추천위원회 구성을 권고한 바 있다. 금융 공공기관장 자리가 정권의 전리품처럼 여겨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투명하고 민주적인 기관장 선임 절차를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추혜선 의원은 "주지하다시피, 기업은행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에 대한 금융지원을 통해 자주적인 경제활동을 원활하게 하고 그 경제적 지위를 향상시키기 위해 설립된 국책 금융기관이다."라면서 "경제 여건이 어려워질수록, 대기업 중심의 경제구조를 극복하고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육성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질수록 권력의 입김에 흔들리지 않고 제 역할을 해나가야 한다."고 거듭 투명성을 촉구했다.
그러면서 이를 위해 전문성과 리더십, 구성원들로부터의 신뢰 등의 자격을 갖춘 기업은행장이 선임되기를 바란다고 예의주시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