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주사 - 중간지배사 합병 구조 경영 효율 증대
상장 - 비상장사 합병 '우회상장 예비심사 신청'
기업 ∙ 주주 가치 제고 및 컴플라이언스 강화 기대
[환경데일리 고용철 기자]동원그룹이 대표 기업인 ㈜동원엔터프라이즈와 동원산업㈜의 합병을 추진한다.
동원그룹에 따르면, 합병하는 동원산업㈜과 ㈜동원엔터프라이즈는 법적 절차를 위해 '우회상장 예비심사 신청서'를 한국거래소에 7일 제출했다고 밝혔다.
합병이 마무리되면 지주사인 ㈜동원엔터프라이즈가 동원산업㈜에 흡수돼 동원산업㈜이 동원그룹의 사업지주회사가 된다. 또 스타키스트(StarKist Co), 동원로엑스㈜ 등 손자회사였던 계열사들은 자회사로 지위가 바뀐다.
합병비율은 1대 0.77(0.7677106)이며, 대표이사는 동원산업㈜ 이명우 사장(現), ㈜동원엔터프라이즈 박문서 사장(現)이 사업부문과 지주부문의 각자 대표 체제로 운영된다.
그동안 동원그룹은 지주사인 ㈜동원엔터프라이즈가 동원산업을 비롯해 동원F&B, 동원시스템즈 등 자회사 5개를 지배하고 중간 지배회사인 동원산업이 스타키스트, 동원로엑스㈜ 등 종속사 21개를 보유하는 다소 복잡한 지배구조를 가져 경영의 효율성이 부족하는 평가가 있었다.
따라서 이번 합병으로 지배구조를 단순화해 빠르게 변화하는 외부 환경에 기민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고 개인투자자들에게 투명성을 한층 강화돼 경영에 활력을 넣을 수 있다는 판단이다. 특히 창업주 경영일선에서 물러나면서 2세 경영체제로 전환해 사세확장을 한층 강화하게 됐다. 동원그룹은 이번 합병을 통해 내부통제위가 가동되면서 컴플라이언스(Compliance)를 강화하는 효과도 예상된다.
![]() |
동원산업㈜은 이번 합병을 통해 주식 액면 분할을 실시한다. 현재 액면가 5000원인 보통주 1주가 1000원으로 분할되며 주식 유통 물량이 확대돼 유동성이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1969년 김재철 명예회장이 원양회사인 동원산업㈜을 창업해 1982년 국내 최초로 참치캔을 출시하며 식품가공업으로 사업영역을 넓혔고, 이후 수산, 식품, 포장재, 물류를 4대 중심축으로 사업을 해왔다.
2001년 ㈜동원엔터프라이즈를 설립하며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했고, 2003년에 한국투자금융지주(前 동원금융지주)를 설립하며 금융그룹을 계열 분리했다. 최근 2차전지, AI 산업 등 첨단 기술 분야로 외연을 확장하면서 글로벌 생활 산업 그룹으로 성장해 가고 있다.
2021년 연결기준으로 ㈜동원엔터프라이즈는 자산 6조6852억원, 매출 7조6030억원, 영업익 5087억원을, 동원산업㈜은 자산 3조519억원, 매출 2조8022억원, 영업익 2607억원을 기록했다.
㈜동원엔터프라이즈는 투명경영 강화 차원에서 3월 정기 주주총회를 통해 김주원 카카오 이사회 의장, 전형혜 한국여자변호사협회 부회장, 김종필 법무법인 율우 대표변호사 등 3명을 사외이사로 신규 선임했다. 또 감사위, 내부거래위, 사외이사후보추천위, 보상위원회를 새로 설치했다. ㈜동원엔터프라이즈는 이번에 중임된 윤종록 사외이사를 포함해 총 4명의 사외이사를 갖추게 됐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