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어류양식협회, 동물보호법 위반 처벌
갈수록 동물 일체 먹지 않는 인구 늘어나
명백히 현행 동물보호법 금지 동물 학대
양식업계 동물 이용않는 사회전환 할 때
[환경데일리 추진호 탐사보도 기자]경남 어류양식협회 회원들이 살아 있는 방어나 참돔을 여의도 민주당사 앞에서 내동댕이쳤다.
파닥거리는 생선들은 고통 속에 죽어갔다. 집회현장에서 시민들은 이들은 방어와 참돔을 산채로 패대기치고, 타박상을 입고, 피 흘리며 튀어 오르는 생선들의 마지막 숨이 끊어질 때까지 지켜봤다.
이들이 살아있는 생선을 길바닥에 내던진 이유를 정부가 무분별하게 활어를 수입해, 국내 양식업자들이 도산 위기에 몰려 있다고 항의 표시로 단체 행동을 폈다.
이에 대해 동물해방물결측은 성명을 통해 "어류 동물도 고통을 느낀다며, 살아있는 어류 동물을 집회의 도구로 사용한 것도 모자라 신체적 고통을 야기하며 상해를 입히고, 죽음에 이르게 한 행위는 반인간적인 행동"이라고 비판했다.
특히, 앞으로 코로나와 기후위기, 해양생태계 파괴는 계속되는데 일본산이든 국내산이든 동물을 일체 먹지 않는 인구가 늘어나는 중이다고 말했다.
지난 27일 경남어류양식협회는 여의도 상경 집회에 방어와 참돔을 민주당사 앞 도로에 내동댕이치며, 바닥을 피칠갑으로 만들었다.
이들은 정부가 일본산 활어를 '무차별적'으로 수입하는 바람에, 국내 양식 활어의 값이 떨어져 어류양식업계가 도산할 위기에 처했다고 거칠게 항의했다.
동물해방물결은 2일 광화문 광장에서 동물 학대 행위 규탄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관계자들을 현행 동물보호법 위반으로 고발했다.
양식업자들이 '일본산 참돔과 방어'을 하급 취급하고 반대로 귀하게 취급받는 '국내산 참돔과 방어'는 소비를 증진하겠다는 의지로 단체행동을 표출했다.
동물해방물결측은 어류도 고통을 느낀다는 것은 이제는 명백한 과학적 사실이다. 비록 동물의 목숨보다 산업을 보호하겠다는 이유에서 어류 동물은 식용일 경우 동물보호법의 보호 대상에서 제외된다는 한계가 있으나, 이날 집회에 이용된 방어와 참돔만큼은 집회의 도구로 무참히 살해, 이용된바 동물보호법의 보호를 받아야 마땅하다고 규탄했다.
동물행동학자 조너선 밸컴은 저서 <물고기는 알고 있다>에서 "신경해부학적 근거가 불충분하다는 이유로 물고기의 통증 인식을 인정하지 않는 것은 지느러미가 없다는 이유로 인간의 수영 능력을 부인하는 것이나 마찬가지"고 언급한 바 있다.
경남어류양식협회의 어민들은 동물을 산업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너무도 일상적인 나머지, 동원되는 동물들이 본인들처럼 고통을 느끼는 존재임을 망각한 행태라고 강도높게 비판했다.
동물해방물결은 일본산이든 국내산이든, 우리는 더이상 동물을 먹지 않으며, 육식보다 채식을 선택하는 인구가 늘고 있다. 사람을 패대기치지도, 죽이지도, 먹지도 않는 이유와 똑같다며 더이상 "더 죽이고, 더 팔게 해달라"는 업자들의 집회 현장에 그들이 이용하는 동물들이 직접 동원돼 처참히 도륙되는 장면을 보고 싶지 않을뿐더러, 전국 길목의 횟집 수족관에서 도마 위에 오르기 전까지 갇혀 있는 어류 동물들 또한 보고 싶지 않다.
또한, 기후위기와 코로나19 등의 위기는 금방 사그라지지 않을 것이다. 업계는 더이상 판로를 잃고, 미래적이지 않은 동물 학대 산업을 부여잡지 말고, 하루 빨리 동물을 죽이지 않는 사회로의 윤리적이고 정의로운 전환을 함께 앞당기길 바란다면서 '육식은 미래가 아니며, 채식이 미래다.'고 호소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