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서울더케이호텔서 소비자단체 12곳
다양한 주제의 소비자관련 컨퍼런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 9개 기관 참여
소비자캠페인 및 홍보 부스도 운영
소비자재단 건축기금 마련 바자회 열어
극심한 기후변화로 인해 직업환경과 근로자 건강영향에 어떤 파장이 있을까. 이에 대한 의문과 함께 과학적인 검증이 필요하다.
(재)소비자재단와 (사)소비자권익포럼은 13일 10시반부터 더케이호텔 서울에서 '컨슈머 소사이어티 코리아 2024'를 개최한다.
올해 주제는 지구온난화로 인해 기후변화, 디지털 경제 AI, 일자리 구조변화와 소비 패턴 변화가 꼽을 수 있다.
이번 행사는 이런 위기와 변화속에서 지속가능한 세상을 만들어 나가는 소비자 중심의 방향 설정과 공정한 질서 수립을 위한 지혜를 모으기 위해 마련됐다.
2019년 시작으로 6회째, '컨슈머소사이어티코리아 2024'는 소비자 의제를 토론 공유하는 자리다. 특히 2025년도 소비자에게 가까이 다가가고 효과적인 소비자운동 전략과 방안을 잡는데 좋은 기회다.
올해 개최되는 행사는 (재)소비자재단과 (사)소비자권익포럼이 공동주관했다.김천주 컨슈머 소사이어티 코리아 2024 대회장과 한창희 (사)소비자권익포럼 이사장이 공동대회장을. 기획위원장은 조윤미 (사)소비자권익포럼 운영위원장이 맡았다.
이번 행사는 공정위, 농식품부, 식약처, 사)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가 후원했다. 그외 단체는 한국식품산업협회 · 대한화장품협회 · 한국소비자중심기업협회 · 한국온라인쇼핑협회 ·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 대한약사회 · 대한병원협회 기금후원에 참여했다.
제1섹션은 ▲2024년 7회 청년소비자이슈 공모전 발표회(한국소비자연맹) ▲소비자 맞춤형 식품안전정보 제공 미래(식품안전정보원) ▲보건안전페어2024(한국보건안전단체총연합회)가 열린다.
이어서 ▲기후변화와 직업환경 건강영향(대한환경건강학회) ▲AI 금융사기 소비자피해예방 정책(미래소비자행동)도 소개된다.
▲GAP소비자 리더 육성 사업 최종보고회 및 시상식(한국부인회총본부) ▲소비기한 제도 도입 이후 소비자 인식 사회적 환경 변화(중앙대 식품안전연구센터)도 오픈한다.
1세션 마지막으로 ▲AI(인공지능)와 소비자권리보호 세미나 (소비자시민모임) 가 열린다. 이어지는 제2섹션은 ▲온라인 플랫폼 시장과 소비자 가격 안정 방안 모색 토론회(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도 연다.
▲쓰담쓰담 토닥토닥, 직장인 마음건강 돌보기(일터정신건강증진학회), ▲농산물 유통시장 개선대책 효과 : 온라인 도매, 소매 시장의 확대중심 (소비자권익포럼)도 공개된다. ▲K-Food 매운맛 캡사이신 역할과 안전성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가 열린다.
캠페인 및 홍보부스는 ▲소비기한 표시제 시행 및 지속가능한 식품 소비안내(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2024 청년 소비 이슈 전시회(한국소비자연맹) ▲올바른 의료 이용 및 담배 소송 항소심 등 제도 안내 (국민건강보험공단) ▲비급여 진료비 정보공개, 비급여진료 사전설명제도 안내(건강보험심사평가원)도 소개된다.
또 ▲의료분쟁조정제도 소개(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전자제품PL센터 활동소개(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회원사 부스 전시 및 산재 예방 운동(한국보건안전단체총연합회) ▲우리배 신품종 및 소비홍보 캠페인(소비자시민모임) ▲기관 홍보 및 소비자 정보전시(한국소비자원)이 진행된다.
컨슈머소사이어티코리아는 매년 우리나라 소비자운동의 과제와 성과를 공유하고 정부와 기업, 소비자가 협력해 경제와 시장환경, 소비자정책을 토론하고 의제를 형성하는 공간이다. [환경데일리 = 유혜리 기자]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