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미세먼지 컨트롤타워 기능 부실지적
사업장, 교통수단 강제적 저감추진 서둘러야
▲도시민들이 가장 많이 이용한 지하철, 승강장과 지하철내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초미세먼지가 압도적인 많다. 특히 봄과 겨울에는 환기가 잘 되지 않아 초미세먼지가 흡입이 많은 계절이다. 특히 버스이용시민들에게 무방비로 노출돼 있다. 사진 김영민 기자 |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초미세먼지 장기간 흡입으로 가장 많은 질환 병명은 뇌졸증, 급성호흡기감염, 만성폐쇄성폐질환, 폐암이 압도적으로 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자유한국당 홍철호 의원(경기 김포시을, 국토교통위원회)이 초미세먼지(PM2.5)로 인해 발생한 국내 사망자가 한 해 1만명을 넘었다고 밝혔다.
홍철호 의원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환경부가 2017년 연구한 결과 초미세먼지로 인한 국내 조기 사망자 수는 1만 1924명(15년 기준)인 것으로 확인됐다.
미세먼지로 인한 질병은 '심질환 및 뇌졸증(58%)'이 가장 많았으며, '급성하기도호흡기감염 및 만성폐쇄성폐질환(각 18%)', '폐암(6%)' 등이 그 뒤를 따랐다.
환경부는 홍철호 의원에게 "미세먼지로 인한 조기사망과 초과의료이용률 등 전반적인 건강피해를 지속적으로 평가하겠다."고 보고했다.
▲홍철호 의원 |
이와 관련, 홍철호 의원은 "환경당국이 공표하는 미세먼지 수치와 실제 국민들이 생활하는 공간에서 측정된 수치가 적게는 두 배에서 많게는 세배까지 차이가 발생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며 "과소측정에 대한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만큼 정부는 미세먼지 측정시스템을 대폭 개선하는 동시에 미세먼지 문제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돌이킬 수 없는 치명적인 재난으로 이어질 수 있는 점을 명확히 인식하고 만반의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환경운동연합, 녹색연합은 서울 수도권은 초미세먼지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기 때문에 폐질환 환자가 늘어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며 국가차원에서 초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사업장과 교통수단에서 국민들의 건강을 책임질 수 있는 강제적인 저감추진 등 새로운 대안이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시, 인천시, 수원시, 고양시, 성남시 등 100만 이상 도시는 향후 10년 내 미세먼지 저감 교통인프라 구축과 제조공장, 공장현장에서 특단으로 시스템 정책을 강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지자체들이 추진하는 초미세먼지 저감 솔루션은 버스정류장 쉘터내 초미세먼지 저감장치 설치, 공장내 상시 유해화학물질 차단 의무화, 공장내 비산먼지 제로화 강제조항, 노후경유차 완전 퇴출, 전기자동차 100% 도입 등을 구상하거나 추진중이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