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돼지열병 등 토론-미끼 백신 개발 정보 공유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아프리카돼지열병(ASF), 조류인플루엔자(AI)에 대한 그동안 대응방안 평가와 연구과제의 발표 자리가 마련된다.
환경부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은 서울대 야생동물질병 특성화대학원과 함께 22일 오후 2시부터 '야생동물질병 분야 정책 토론회'를 영상회의 방식으로 개최한다.
이번 정책토론회는 야생동물질병 특성화대학원 지원사업의 하나로 마련됐고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조류인플루엔자(AI)의 대응방안 및 관련 기술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이번 정책토론회는 ASF 분야, AI 분야, 종합토론 순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이 자리에는 국내 질병관련 전문가들이 야생동물 질병 발생 현황과 정책 방안을 공유하고,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특성화대학원 발전 방향에 대해서 논의할 예정이다.
제1부에서 ▲국내 ASF 발생 현황과 백신 개발 현황(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김용관, 최주형 연구사) ▲한중 국제협력 통한 ASF 진단기술과 백신기술 개발(서울대 송대섭 교수) ▲야생동물 미끼 백신 개발현황과 전망(농림축산검역본부 양동군 박사) 등을 주제로 연구결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제2부는 ▲AI와 야생동물의 역할(건국대 이동훈 교수) ▲과학적 AI 백신 정책 결정(서울대 권혁준 교수) ▲국내 AI 발생현황(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박재성 연구관) 등의 연구결과를 소개한다.
야생동물질병 특성화대학원은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의 야생동물질병 대응 및 백신 개발 등 관련 기초 연구지원 아래 지난해부터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은 서울대 수의과대학을 포함한 3개 대학을 특성화대학원으로 선정 ASF 등 야생동물질병 관련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야생동물구조센터와 연계한 현장실습 과정 등을 통해 석박사급 야생동물질병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노희경 원장은 "우리 관리원은 원헬스(One-Health) 개념을 바탕으로 종간 전파를 고려한 효과적인 질병 관리를 위해 사람-동물-환경 간 통합적 질병 관리에 집중하고 있다."며, "이번 토론회에서 야생동물질병에 대한 연구·감시·방역 등 체계적 관리와 사람-가축에 대한 질병 전파 또한 예방·차단에 연구성과가 미래 안전망을 구축하는데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