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소각장과 민간소각장과 주민 지원 차이 커
인천시, 수도권매립지공사 지방공기업 모색중
송병억 매립지공사 사장 "공공기관 지속돼야"
수도권매립지공사가 운영중인 매립지는 2026년 직매립 금지된다.
이와 관련, 국회 환노위 소속 이용우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서울 수도권지역 제대로된 소각시설이 없다."고 대책마련을 강조했다.
이용우 의원은 "그간 민간소각장은 활성화된 반면, 공공소각장과 민간소각장과 주민들에게 지원하는 차이가 많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앞으로 민간소각장 활용을 권장했다.
특히, 민간소각장 이용 반입협력금제도 시행 2년이 지났는데, 여전히 준비가 안된 점도 지적했다.
시행규칙을 정하는 건 법령에 위반된 것으로 문제가 될 수 있다고 환경부 장관에게 대책 요구했다.
수도권매립지공사는 반입량이 줄면서 유일한 수입원인 반입수수료까지 줄고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인천광역시는 서울시, 경기도, 환경부와의 4자간 협약을 무시한 채, 공사 소재지가 인천시 서구에 위치한 이유로 지방공기업화로 편입 모색중이다.
송병억 매립지공사 사장은 "수도권매립관리공사는 어느 한 특정 지역만의 소유물이 아니다."며 "선진매립기술과 메탄가스 자원화의 우수성을 가진 만큼 서울시민과 경기도민의 것으로 폐기물 자원화의 환경공공기관답게 지속돼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공사 명칭도 자원순환공사로 전환을 놓고 조율중이다. [환경데일리 = 김영민 기자]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