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현대건설 '수소 생산 공동기술 개발 협약'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 수소경제 활성화 선도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쓰레기 매립지에서 뽐아내는 바이오가스를 수소로 전환을 시작한다. 수소생산량은 현대차의 수소전기차 넥쏘를 34대 이상 충전할 수 있는 양이다.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사장 송병억)에 따르면, 현대자동차그룹과 함께 음식물 쓰레기 폐수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를 활용해 청정수소 생산에 나선다. 이를 통해 폐기물 에너지화를 선도하고 탄소중립 달성에 앞장선다는 계획이다.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는 29일 현대건설 사옥에서 현대차· 기아, 현대건설 등과 '바이오가스 활용 친환경 수소생산 공동기술 개발 및 사업추진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 염경섭 공사 자원순환기술연구소장, 홍승현 현대차·기아 기초소재연구센터장 상무, 박구용 현대건설 기술연구원장 전무 등이 참석했다.
![]() |
▲(사진 왼쪽부터) 현대자동차 기초소재연구센터장 홍승현 상무,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자원순환기술연구소 염경섭 소장, 현대건설 기술연구원장 박구용 전무 |
이번 협약은 앞으로 2년간 매립지공사에서 생산되는 바이오가스를 활용해 하루 216kg 규모의 친환경 수소 생산 기술을 공동 실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매립지공사는 수소 생산 원료인 바이오가스와 연구 부지 및 설비 시설을 제공한다. 현대차·기아는 촉매 반응 공정을 위한 통합 시스템 구축을, 현대건설은 수소 생산 과정에서 가스 선택 분리 기술 개발을 담당할 계획이다.
기존 수소생산 방식은 생산 과정에서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이번에 공동 개발하는 기술은 이산화탄소를 산화제로 활용하기때문에 탄소배출을 획기적으로 감축할 수 있다.
이번 협약으로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달성에 기여하고, 본격적인 수소경제 활성화를 선도할 계획이다.
염경섭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자원순환기술연구소장은 "이번 연구가 성공한다면 음폐수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로 청정수소를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된다."며 "기술개발에 성공할 수 있도록 각 기관이 보유한 자원과 역량을 최대한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공사는 5월 청정수소 및 고체탄소(블랙카본) 생산기술 개발을 위해 ㈜인투코어테크놀로지와도 공동연구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