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억원 기본계획 및 타당성조사 용역 실시
토건화 하천, 인공조경업 중심 하천 문제
이동환 시장 "역사 문화 생태 명품하천"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환경부 통합하천정비사업으로 추진될 고양특례시 창릉천 밑그림이 그려지기 시작했다.
고양특례시가 19일 고양시 통합하천사업 자문단 회의실에서 '창릉천 통합하천사업 기본계획 및 타당성조사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착수보고회에는 이동환 고양특례시장과 이재오 위원장을 포함한 통합하천사업 자문단, 용역 수행업체, 습지생태, 수생태전문가 등 30여명이 참석했다. 보고회는 용역 수행기관인 ㈜한국종합기술의 착수 보고와 질의응답, 자문단 회의 순서로 진행됐다. 착수 보고에 앞서 자문단 회의실 현판식도 열렸다.
창릉천 통합하천사업 기본계획 및 타당성조사 용역은 내년 6월까지 진행된다.
시는 용역을 통해 환경부 기본구상에 부합하는 사업계획안을 마련하고, 하천기본계획과 타당성을 검토할 예정이다.
용역이 완료되면 3200억원 규모의 창릉천 통합하천사업의 밑그림이 완성될 예정이다.

시는 창릉천 통합하천사업을 실시해 기후 변화와 도시화에 맞춰 창릉천 주변 환경을 안전하고 쾌적한 수변공간으로 개선할 예정이다.
시는 통합하천사업이 완료되면 창릉천의 치수, 이수 기능이 강화될 뿐만 아니라 풍부한 생태계를 갖춘 '고양시의 제2호수공원'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창릉천 통합하천사업 기본계획 및 타당성조사 용역은 내년 6월 7일까지 진행된다. 시는 2억20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창릉천 통합하천 기본계획수립 ▲수리안전성 검토 ▲전문가 자문 및 지역주민 의견수렴 ▲사업효과 분석 및 타당성 검토를 실시한다. 시는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통합하천사업의 사업계획안을 마련하고 예비타당성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정민경 고양시의원은 "창릉천은 미래 고양시의 얼굴이라며 생태적 연결성 회복으로 접근해야 사업을 목표달성할 수 있다."고 말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국가하천을 포함, 통합하천정비사업은 수생태계 확보, 인공적인 호안 등 지역환경에 역효과를 내는 기본설계를 비롯해, 정비 공사과정에서 노출될 수 있는 반환경적인 공법이나, 오염원 배출 등 환경영향평가에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