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공적개발원조 확대 등 전략회의 개최
KEITI, K-water, K-eco 국제환경협력센터로 지정
개발 비중 19.6%서 OECD 평균 이상 28.1% 확대
그린뉴딜 공적개발원조와 국제감축 연계 논의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국내 환경산업 녹색기술의 우수성을 기반으로 해외 국가를 대상으로 공적개발원조 사업에 더욱 강화하게 됐다.
환경부는 17일 오후 서울 JW메리어트호텔에서 그린뉴딜의 기본정신을 가지고 공적개발원조(ODA)와 함께 국제감축사업의 민관 협력방안을 위한 전략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전략회의는 환경부 산하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환경공단,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신창현 사장, SL공사), 한국환경산업기술원(유제철 원장, KEITI) 등과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 수자원·폐기물 분야 기업대표 등이 참석했다.

지정서 배경은 '환경정책기본법' 제27조의2에 따라, 국제환경협력 중장기전략 수립, 정책조사·연구 및 그린뉴딜 공적개발원조 사업 등 국제환경협력사업 수행을 목적으로 담겨져 있다.
이번 수여식으로 기존 KEITI를 포함해 4곳의 환경부 산하기관에서 국제환경협력센터가 운영될 예정이다.
환경부는 앞으로 센터를 하나의 창구를 통해 그린뉴딜 공적개발 원조 및 국제감축사업의 체계적인 확대를 추진할 예정이다.
지난해 11월 제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 파리협정 이행규칙이 타결돼 국제 온실가스 감축 시장이 본격적으로 운영될 것으로 예상된다.
환경부는 기후·환경분야에 특화된 그린뉴딜 공적개발원조와 국제감축사업간의 연계를 강화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원조대상국의 환경분야 협력수요를 반영해 2023년 공적개발원조 사업규모를 대폭 키우고, 기존 물관리 중심에서 대기, 폐기물 등으로 협력분야 또한 다변화할 계획이다.
산하기관들은 종합계획 수립단계부터 국제감축사업 전환 가능성을 반영하고, 연계 사업의 본보기를 개발해 감축실적 확보를 위한 공조하게 된다.
수자원공사, 환경공단, 환경산업기술원은 고유업무 특성과 환경 전문성을 발휘해 국제협력사업의 효율성을 끌어올릴 계획이다.
수공은 앞으로 국내 순수기술력이 녹아든 현지화된 댐건설과 광역상수도 사업과 수상태양광, 수열에너지 보급사업까지 더해서 국제감축 사업의 기회로 활용할 예정이다.
환경공단은 국내 여럿 환경문제 해법 노하우를 기반으로 54억 원 규모의 몽골 나랑진의 매립지 온실가스감축사업(2022년 11월이후 설비 운영) 등을 투입했다.
특히 해외에서 폐기물, 대기질 분야 환경사업 및 국제 감축사업을 원조대상국들과 추진한다. 우리 녹색기술 지원이 적용되기 전의 이집트는 ▲낙후된 수거장비로 폐기물 수거 저조 방치 폐기물 증가 ▲불법 소각(불법소각율 80%)으로 대기오염 심화 ▲도시 고형폐기물이 주거지역에 사회 문제로 심각했다.
환경산업기술원은 중소녹색기업과 함께 25년 이후 목표를 두고 있는 990억 원 규모의 이집트 폐기물자원화 사업 등으로 공적개발원조를 힘을 쏟았다.
기술원 관계자는 "환경기업의 해외진출 확대를 위해 민간과 정부를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환경부는 매월 민관 전략회의를 열어 기후환경 분야 공적개발원조의 다변화를 꾀하고 국제감축을 위한 전략적 접근을 위한 민관 협안을 꾸준히 논의할 계획이다.
특히 2025년까지 전체 공적개발원조 대비 기후환경분야 공적원조개발 비중(`15-`19년 기준 19.6%)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개발원조위원회 평균 이상(28.1%)으로 확대 추진한다.
토론에는 이규성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경영본부장, 신경남 GGGI 사무차장보, 김준형 LX인터내셔널 그린사업부장, 강호정 건화엔지니어링 플랜트사업부 부사장, 오윤근 유신엔지니어링 수자원부문 사장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한정애 장관은 "앞으로 10년간은 대한민국의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실천하는 모습을 국제사회에 보여줄 결정적인 시기"라며, "국내 감축과 더불어 전지구적 탄소중립에 기여하는 국제감축 사업에도 역량을 모으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