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한강청, 인천시 고도정수전담조직 제안
활성탄지 설계·운영기준 상수도 인력 전문 강화
비용절감 위주 수도사업 운영 문제로 개선 시급
급수인구 당 상수도 종사 인력 부족, 보강 공감
깔따구 유충 등 상수도 시설 침입 완전 차단키로
'활성탄 지' 효과적 역세척 방법 세부 기준 마련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한강유역환경청, 인천시가 공촌·부평정수장의 수돗물 깔따구 유충 유출사고의 원인파악과 재발방지대책 마련을 위해 7월 16일 발족한 수돗물 유충 관련 전문가 합동정밀조사단(단장 현인환)이 중간발표(8월10일)에 이어 최종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단은 7월28일 위생관리 긴급조치사항을 환경부와 공동으로 제시했고, 앞선 중간결과 발표를 통해 인천시 수돗물 깔따구 유충 사고는 공촌·부평정수장의 입상활성탄 흡착지(활성탄 지(池))에서 유출됐다고 밝힌 바 있다.
조사단은 창문 개방, 환기시설 중단 및 사람 출입 시 깔따구 성충의 유입이 가능하며, 활성탄 지는 유충이 생존할 수 있는 환경(온도, 수중, 먹이, 역세척 주기 등)이었음을 기존에 확인했다.
특히, 추가 조사에서 활성탄 지에 서식한 깔따구 유충은 배수지등의 공급계통으로 유출됐을 때에 체내와 표피(머리, 꼬리 부분 등)에 활성탄의 미세입자가 부착돼있어, 활성탄 지에서 유출됐다는 흔적이 남는 것을 확인했다.
조사단은 이번 수돗물 유충 유출 사고는 인천시에서 발생했으나, 미국·영국 등의 해외 수돗물 유충 발생사례 등을 종합해 보았을 때, 향후 시설과 운영이 비슷한 다른 곳에서도 유사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 단기·중장기 종합대책을 제안했다.
조사단이 제안한 수돗물 생산·공급과정 상에서 수개월 내에 개선할 수 있는 단기대책을 밝혔다.
깔따구 유입방지를 위한 구조물 개선사항으로는, 건물의 이중 출입문, 방충시설(출입문, 창문, 환풍기 등 날벌레 유입이 가능한 모든 곳)을 설치해 깔따구 성충 등의 야생생물 유입을 원천 차단하고, 현재 개방형 건물 및 개방형 활성탄 지로 운영 중인 정수장의 경우 활성탄 지 상부에 개폐식 덮개 시설을 설치하되, 긴급 조치로 방충망을 틈새 없게 고정하는 것을 권고했다.
활성탄 지 운영개선으로는, 깔따구(성충, 유충) 번식이 왕성한 기간(4~9월) 동안 활성탄 지의 역세척 주기를 잠정적으로 7일 이내로 실시 및 역세척 속도를 최대한 증대해 운전하되, 시설 특성 및 운영 상황을 고려, 탄력적으로 운영할 것을 제시했다. 활성탄 지 이후 수돗물 공급계통 시설에서의 지속적인 모니터링 개선이 필요함을 제시했다.
긴급 모니터링 방법도 제안했는데, 건물 내 성충 채집 및 활성탄 지의 유충 채집 등 대상생물 군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제안했다,
조사단은 번 유충 유출사고에 대한 백서 발간을 인천시에 제안했다.
또 하나의 문제는 비용절감 위주로 수도사업을 운영했다는 점과, 급수인구 당 상수도사업 종사 인력이 턱없이 부족했다고 밝혔다.
지속적으로 노후화된 수도시설의 신설 및 개량을 위한 충분한 사업예산의 집행과 고도정수처리 공정을 전담할 전문인력 및 기술인력 보강과, 현시점에서 향후 후속 연구 등을 통해 도출할 수 있도록 중장기 종합대책을 제안했다.
활성탄 지의 설계·시공 개선대책으로는, 공촌·부평정수장의 경우 당시의 상수도시설기준을 만족하지만, 깔따구 유충 등 생물의 활성탄 지 하부지지층 통과 가능성을 고려한 하부지지층의 규격 및 두께 설정에 대한 연구와 활성탄 지의 효과적인 역세척을 위해 역세척 방법과 트라프(세척 수가 배출되는 통로 역할)의 간격·높이에 대한 세부 기준 마련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다.
활성탄 지의 운영 방법의 향상 대책으로는, 충분히 역세척이 이뤄지도록 역세척 속도와 유량 등을 확인하는 운영 가이드 라인 수립과 수온 등에 따라 적정 역세척 속도가 달라지므로, 관련 적정성을 매월 조사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수돗물이 최종 도달하는 수용가의 급수시설 청결관리 및 저수조 관리개선 등 위생관리 강화에 대한 관련 법규보완과 이를 위한 주민소통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조사단은 "이번 합동정밀조사단의 공식적인 활동은 이번 최종결과 발표로 종료되지만, 향후 단기·중장기 과제의 대책 수립 및 정책제안 등 후속 조치에 있어서는 정부와 지속적으로 협력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