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co와 기후·대기 정책 현장 목소리
정책포럼 정례화 사업장 대기환경 개선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대기질 개선을 위한 노력이 더 필요하다는데 공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유해물질 억제시설 강화도 관리 시스템과 관련 기술력에 대한 투자와 이에 대한 인센티브가 높여야 한다는 의견이다.
K-eco 한국환경공단(이사장 임상준)은 16일 동자아트홀에서 사업장 대기총량제의 운영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발전방향을 논의하는 'K-eco와 함께 기후·대기 정책포럼'을 열었다.
이번 포럼은 권역별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 2차 계획기간(2025~29년)에 대한 배출허용총량 할당 결과와 제도 운영 경험을 공유하고, 향후 사업장 대기환경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이자리에는 환경부, 환경공단 정책당국과 전국 사업장, 학계 등 100여 명의 전문패널이 참여했다.
이들은 총 4건의 주제 발표와 종합토론으로 구성되며, 제도 전반에 대한 분석과 실제사례에서 개선 제언까지를 폭넓게 다뤘다.
현장에서 △사업장 대기환경개선 환경정책(환경부 나인찬 사무관) △총량관리제도 운영성과 및 운영 방향(공단 기후대기본부 장성신 부장) △대기오염물질 총량관리제도 발전방안(광운대 유경선 교수) △총량관리사업장 제도참여 사례 및 제언(GS반월열병합발전 전호근 차장) 등 발표했다.
종합 토론 패널은 이희관 인천대 교수를 좌장으로, 이정민 환경부 사무관, 홍지형 전 인하대 교수, 성기욱 환경공단 처장, 김동영 경기선임 연구위원이 사업장 대기환경정책의 현안과 개선 방안에 대해 문제점과 향후 정책반영에 따른 다양한 논의 등이 공유됐다.
이 자리에서 임상준 한국환경공단 이사장은 "오늘 포럼은 현장의 실제 운영 경험 등을 통해, 실효성 높은 정책 개선 방향을 함께 고민하는 자리"라며 "공단은 사업장 부문 대기환경 관리와 적극 정책 추진을 통해 국민이 체감하는 개선 성과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환경데일리 = 김영민 기자]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