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시범사업 추진 협약 체결
환경부, 핵심광물 재생원료 확보 배터리 안정 공급
[환경데일리 장수익 제주취재본부 기자]환경부는 제주특별자치도 및 ㈜에스에프에코와 19일 제주도에 보관 중인 재활용 용도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를 전처리(파분쇄를 통해 블랙파우더 생산)하는 시범사업 추진 협약을 서면으로 체결한다고 밝혔다.
블랙파우더(BP, Black Powder)는 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 등이 포함된 검은색 분말로 배터리팩, 스크랩 등을 파‧분쇄, 선별을 통해 생산한다.
제주도에서 반납된 전기차 폐배터리는 제주도 내에서 재활용하거나 육지로 이송해야 하나, 이 지역에는 재활용업체가 없고 폐배터리를 육지로 이송할 경우 화재‧폭발 위험이 있어 제주테크노파크에 보관 중인 상태였다.
올 9월말 기준 제주테크노파크에 281대(재제조‧재사용 181, 재활용 100) 보관 중 이에 환경부와 도는 제주 지역 내 폐배터리의 안전한 재활용을 위한 전처리 시설 설치를 검토했다.
그 결과 폐배터리를 전처리해서 만든 블랙파우더는 해상운송이 가능해 육지의 후처리 시설(제련공정을 통해 리튬, 코발트 등 추출)로 운송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됐다.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소방서는 제주도내 관광객 이용 전기차, 도민 전기차가 늘어남에 따라 화재사고를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화재진압훈련을 강화하고 있다. |
이번 시범사업은 액화질소, 액화천연가스(LNG) 냉열 등을 활용해 –50℃이하의 온도에서 배터리의 전해액을 동결시켜 전기를 차단해 화재나 폭발 위험을 제거한 후 초저온 동결파쇄 공법을 적용, 전기차 폐배터리를 전처리하는 것이다.
액화천연가스(LNG)는 액체상태(-162℃)로 수입해 가스기지에서 보관하고, 가정에 0℃로 기화 공급하는데 이때 냉열 에너지(약 200kcal/kg) 발생한다.
기존 폐배터리 전처리 방식과 차이점은 이렇다. 지금까지 수거→방전→파쇄를 걸쳐 선별(BP 생산, 외부충격시 화재.폭발 위험, 오염폐수 발생 등)처리했다. 2024년 부터 시범사업은 수거→초저온 동결파쇄→선별(BP 생산)(방전 생략, 외부충격에도 화재.폭발 위험 차단)로 꼼꼼하게 처리된다.
환경부는 시범사업에서 폐배터리 운송비용 지원, 관련 제도정비 및 인허가 취득을 지원한다. 제주도는 부지 제공(유상 임대),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공급(유상 매각), 인허가 취득을 지원한다. 에스에프에코는 초저온 동결파쇄 전처리 설비를 설치 및 운영할 예정이다.
이번 시범사업으로 제주도에 보관됐던 재활용 용도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를 안전하게 전처리해 육지의 후처리 시설로 이송해 유가금속을 회수해 공급망 확보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액화천연가스(LNG) 냉열을 활용해 온실가스 감축 등 탄소중립과 순환경제 전환 촉진에도 기여할 수 있다.
조현수 환경부 자원순환국장은 "배터리 핵심광물의 공급망 안전성 강화를 위해서 재활용을 통해 재생원료를 배터리 제조에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제주에서 보관 중인 사용 후 배터리를 안전하게 재활용하고, 시범사업 결과를 분석, 친환경 기술의 적용 확대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