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산림청, 문화재청 등과 생태환경문화단지 추진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 광릉숲 항구적 보전 해법 모색
![]() |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서울 수도권 북부의 아마존 허파와 같은 기능을 하는 광릉숲 보전에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다.
이미 중대형 가구산업단지 조성과 인근 스토크 방식의 소각장 건설이 앞두고 있어서다.
이와 관련, 김한정 의원(경기남양주을)이 경기연구원과 함께 25일 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광릉숲 생물권보전지역의 지속가능발전 방안토론회'를 개최했다.
광릉숲은 조선, 세조왕릉의 부속림으로 550여년간 보전돼왔다. 이곳에는 평생 몇 번 볼까말까하는 크락새 등 천연기념물을 비롯한 6000여종의 동식물이 살고있다.
국제사회로부터 광릉숲 보전이 인간과 동식물 모두 이롭고, 보전가치를 월등하다며 2010년 그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받았다.
이러한 광릉숲의 가치와 상징성에도 불구하고 인근 지자체에서는 가구산업단지 개발계획과 소각장 건립계획 등을 발표하면서 지자체 간, 그리고 지자체와 주민간의 갈등을 겪어왔다.
남양주시민들은 발끈하고 있다. 앞서 남양주시 별내면 고흡 등 미니 신도시 개발로 상당한 환경훼손을 감수해야 했다.
이에 시민들은 자발적으로 비상대책추진위원회를 꾸렸고 매주 반대 집회를 통해, 지금까지 1만 2000여명이 참여한 서명운동을 벌여왔다.
지난 18일 김한정 의원은 국회 행안위의 경기도 국감을 통해, 이재명 경기도지사로부터 "주민동의 없는 가구단지 추진을 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받아, 사실상 가구단지 조성은 무산됐다.
김한정 의원은 가구단지 이외에도 추가적인 광릉숲 환경을 위협할 수 있는 개발사업 재추진을 막기 위해 환경 및 지역개발 전문가를 초청 토론회를 개최해 개발위협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광릉숲의 항구적 보전 방안을 논의 했다.
이날 토론회는 허훈 광릉BR관리위원회 부위원장이 좌장을, 오충현 동국대 바이오환경과학과 교수, 김희채 국립수목원 광릉숲보전센터장, 이영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 김한수·이유진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이 발제자로 참여해 열띤 토론을 펼쳤다.
이 자리에서 전문가들은 광릉숲은 당장 경제가치는 따질 수 없을 만큼 우수한 자연친화적인 요소를 듬뿍가지고 있어 이를 잘 보전하고 후대에 물려줄 경우, 수도 서울까지도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숲이 될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전문가들은 아무리 집진시설 등 악취 차단, 비산억제장치를 구축한다고 해도 만약의 경우 광릉숲과 불과 5km내 산업단지와 소각장에서 나오는 위해성 물질이 영향을 미치는 것은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며 환경영향평가 등 환경부와 한강유역청, 경기도, 남양주시 충분한 검증을 걸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한정 의원은 "앞으로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보호를 위한 실효성 있는 입법은 물론, 광릉숲 인근지역을 가구단지가 아닌 생태환경문화단지로 조성하기 위해 경기도, 산림청, 문화재청 등과 협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