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억 원 추가 투입, 출동차량 7대 추가, 장비 전면 교체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화학물질안전원(원장 김균)은 화학사고 대응을 위한 첨단장비를 보강해 현장출동 대응기관인 전국 7개 유역 지방환경청, 6개 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에 배치했다고 밝혔다.
새롭게 보강된 첨단장비는 화학사고 대응뿐만 아니라 U-20 월드컵, 2018 평창동계올림픽 등 국가 주요행사의 대테러 안전활동 지원에 활용돼 현장 중심의 화학사고·테러 대응체계 강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첨단장비는 화학작용제탐지기 13대, 고체·액체 분석용 적외선분광기 6대, 드론 13대, 현장긴급출동차량 6대 등 4종이다.
화학작용제탐지기는 흡입 또는 섭취할 때 근육경련, 호흡곤란, 염증 등을 일으키는 신경작용제, 혈액작용제, 독성화학물질 등 26종을 10~90초 이내에 탐지할 수 있다.
26종 화학물질은 염소, 폼알데하이드, 염화수소, 불화수소, 질산 등으로 분류돼 있다.
고체·액체 분석용 적외선 분광기는 테러 등에 사용되는 사제폭발물 원료인 TATP(Triacetone Triperoxide), PETN(Pentaerythritol Tetranitrate) 등을 현장에서 신속하게 분석한다.
TATP는 강산을 촉매로 아세톤과 과산화수소를 반응시켜 생성되는 강력한 폭발 성질을 가진 흰색 결정체다. 2015년 파리 테러, 앞서 2006년 영국 항공기 테러, 2005년 영국 지하철 폭탄테러 등에 사용된 물질이다.
PETN는 질산과 펜타에리트리톨을 반응시켜 생성되는 충격과 열에 민감한 폭발 물질로 2009년 미국 항공기 폭발미수 테러에 사용해 세상에 알려졌다.
드론은 화학사고나 테러가 발생해 현장 대응인력의 근접 접근이 어려울 경우 상공에서 현장을 입체적으로 관찰하는 데 활용된다.
이 밖에, 이번에 6대가 추가 배치된 현장긴급출동차량은 화학사고 대응장비를 상시 탑재하고 신속하게 현장에 출동할 수 있다.
![]() |
환경부는 화학사고 대응 노후장비를 지속적으로 교체하고 유럽, 미국 등 해외의 대응태세를 참고해 신규 대응장비를 도입하는 등 화학사고, 테러 대응역량 선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올해는 38억 원의 예산을 추가로 투입, 현장긴급출동차량 7대를 추가 배치할 예정이며, 노후된 화학보호복, 공기호흡기, 시료채취장비를 전면 교체한다.
아울러, 현장 탐지능력을 한층 강화하기 위해 원거리 화학영상탐지시스템, 기체 분석용 적외선분광기를 추가로 도입해 신속하고 안전한 화학사고·테러 대응 태세를 갖출 계획이다.
신건일 화학물질안전원 사고대응총괄과장은 "이번 첨단 대응장비 도입을 통해 화학사고와 화학테러 현장대응 능력이 더욱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U-20월드컵 대회, 2018 평창올림픽 등 대규모 국제행사에 대비하기 위해 경찰 소방 등 대응기관과 현장 합동 훈련을 실시하는 등 화학사고 테러 대비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