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 발병 대비 국가 항바이러스제 비축량 미달 지적
[환경데일리 문종민 경기취재본부 기자]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에 따라 또 다시 중앙 역학조사관 부족 문제도 제
▲최도자 의원 |
기됐다.
아울러 국가차원에서 항바이러스제 비축량 부족에 대한 해결책 필요성이 나왔다.
최도자 보건복지위 소속 바른미래당 의원(간사)은 최근 보건복지부로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현안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중앙 역학조사관 인력수급 문제와 국가 항바이러스제 비축량 부족 문제를 지적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질의했다.
역학조사관은 감염병 의심사례가 발생했을 때 현장에 나가 어떤 병이 어떻게 시작되고 퍼져나가는지 조사하여 실질적인 방역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핵심 인력이다.
2015년 메르스 사태를 겪으며 복지부는 역학조사관 확충 방안이 포함된 국가방역체계 개편방안을 발표했다.
하지만 2020년 1월말 기준 중앙 역학조사관 43명 정원 중 32명만이 일하고 있으며, 11명(25.6%)이 결원상태이다.
더 중요한 점은 국가 항바이러스제 비축량이 목표치에 미달하다는 점이다.
최 의원은 "그동안 우리 정부의 안일함도 있었고 국회에서 예산을 깎는 행위를 했다."면서 "독감에 대비한 국가 항바이러스제의 인구대비 비축률은 영국의 경우 79%, 일본은 47.7%, 미국은 33%이지만 우리나라의 비축 목표치는 인구대비 25%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실제 비축량은 이에도 미치지 못하는 20%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도자 의원은 "역학조사관은 감염병의 최전선을 지키는 핵심인력임에도 불구하고 4분의 1 이상이 결원 상태"라며, "인력 수급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해 역학조사관 부족 문제를 하루 빨리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국가 항바이러스제의 비축량 목표치를 기존의 30%에서 2019년 25%로 하향했지만 이조차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라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위기를 기회로 삼아 다른 전염병에 대한 대비태세도 총체적으로 점검해야 한다."고 덧붙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