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관광 사회적기업 설립…2곳 시범사업
운영주체 지역협의체 사회적경제기업 육성
환경부,집중 지원 지속가능 기반 일 창출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생태관광 시대에 수익과 생태문화의 중요성을 키우기 위한 사회적경제기업 설립에 적극 나서고 있다.
환경부는 국립생태원과 함께 생태관광으로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힘을 쏟고 있다.
국립생태원은 지역민들이 생태마을을 공동체로 묶어서 그 지역 생태자원을 보존에 힘쓰게 하고 동시에 지속가능한 경제 자립도 돕는다는 취지다.
바로 일석이조의 '생태관광 사회적경제기업'의 설립 확대다. 환경부는 이를 지원하기 위한 첫 단계로 국립생태원과 생태관광지 2곳을 선정 '지역맞춤형 생태관광 감독(디렉터) 양성 및 진단(컨설팅)' 시범사업을 5월부터 추진한다.
전국 26곳의 생태관광지역 중 생태관광자원 목록, 성장잠재력, 지역주민 참여도, 사업 실행가능성 등을 토대로 2곳이 선정됐다.
최종 선정된 2곳은 5월부터 12월까지 지자체, 전문가와 함께 지역 생태관광이 성공적으로 정착되도록 분석해준다.
더불어 전문가 맞춤 상담으로 주민역량 강화, 일자리 발굴, 소득 창출과 분배체계 구축 등 지원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지역이 사회적경제기업을 설립하도록 역량을 키워야 하는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 진단 대상지역의 특성에 맞게 사업기획, 조직운영, 갈등관리 및 사업공동체 활동 등 맞춤형으로 컨설팅도 펼친다.
앞서 환경부는 제주의 동백동산 습지가 2018년 2월 지원해 생태관광 사회적경제기업인 '사회적 협동조합 선흘곶'을 설립·운영했다.
전북 정읍 월영습지와 솔티숲도 지역민들이 모여 '솔티생태관광협동조합'을 2018년 3월에 결성, 지역의 생태관광을 이끌고 있다.
성공사례로 제주 선흘생태관광프로그램은 선흘1리 마을과 동백동산 천연 그대로의 현명한 활용을 통해 자연의 보전과 주민의 행복이라는 공동목표를 주민들이 움직이고 있다.
▲제주 선흘생태관광 프로그램은 지역민들의 삶과 지역공동체의 활화산이 되고 있다. |
이들이 정한 생태관광 프로그램 개발의 원칙은 ▲수익 대부분(약 70%) 지역 환원 ▲식사는 주민 식당 이용과 지역의 재료 활용 ▲체험활동은 지역 자생단체 우선 ▲교육을 받은 주민들이 해설사로 활동(삼촌해설사, 꼬마해설사, 질토래비, 주민자연환경해설사, 주민지질공원해설사 등) ▲숙소는 주민 운영 숙소 이용 ▲수익 일부(10%) 환경보전기금으로 환원 ▲최소의 교통수단을 이용 등으로 가동되고 있다.
이에 대해 박연재 환경부 자연보전정책관은 "동백동산습지 주변처럼 주민들이 주도적으로 자연자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생태관광을 통해 복지혜택을 누리는 선순환 체계를 마련하는 건 생태관광의 궁극적인 지향점"이라고 말했다.
또 "주민 누구나 생태관광 운영에 참여하고 수익을 공정하게 배분하며, 지속가능한 생태지역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사회적경제기업 설립을 위해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