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 등 가스배관 비해 시정통보 56배 많아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2017년 1월 서울 금천구 주택 철거 현장에서 포크레인 버킷에 매설된 가스배관이 손상돼 가스가 누출되는 사고가 있었다. 2018년 4월에도 비슷한 사고가 터졌다. 서울 서초구 신축공사장에서 굴착 중 도시가스 배관을 파손 가스가 누출된 사고가 발생했다.
▲박정 의원 |
이런 문제는 도시가스 사용시설에 대한 안전관리가 부실에 따른 인재라는 지적이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박정 의원(더불어민주당, 파주시을)은 한국가스안전공사를 대상으로 한 2018년도 국감에서 도시가스배관 안전성에 대해 질책했다.
도시가스배관은 공급시설과 사용시설로 분류된다. 공급시설은 도로를 따라 매몰돼 있고, 사용시설로 분류되는 곳은 대부분 개인 사유지로 아파트, 주택가를 포함해 상가, 공장 등 도시가스를 소비하는 곳에 해당한다.
감사원은 감사를 통해 공급시설에 대한 안전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국감를 통해 박정 의원이 검토해본 결과 사용시설에 대한 관리 체계 역시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스안전공사는 가스배관 설치가 적합하지 않은 경우 이를 시정 통보하도록 돼 있다.
지난 2년간 시정통보 내역은 공급시설이 58건이었지만, 사용시설은 무려 520건에 달했다. 배관 설치과정에서 사용시설에 대한 지적이 56배가 많은 것.
굴착 과정에서 설계도면과 실제 땅에 매설돼 있는 배관의 깊이나 길이, 매설 방법이 달라 배관을 손상시켜 가스가 누출되는 사고가 매년 일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박정 의원은 "1994년 아현동 가스폭발 사고와 1995년 대구 가스폭발 사고의 교훈을 잊어서는 안된다."며 "도시가스 배관에서 폭발사고가 난다면 피해는 걷잡을 수 없이 클 것"이라며 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할 것을 요구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