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데일리 한영익 기자]침수피해로 대피할 수 있는 지도가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윤영일 의원 |
국민 안전을 위해 우리나라 침수피해지역에 대한 대피지도 구축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윤영일 의원(민주평화당, 해남ㆍ완도ㆍ진도)이 한국국토정보공사(LX)로부터 제출받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2006년 후 총 침수면적 7만 4973ha 중 2만 4660ha만 침수피해지도(침수흔적도)가 작성돼 면적 대비 32%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미국, 프랑스, 독일 등 선진국의 경우 상세한 침수피해지도를 작성해 체계적으로 유지ㆍ관리 중인 반면 우리나라는 현행법 상 지방자치단체장은 침수피해지도를 제작, 활용하도록 돼 있으나 예산부족 등의 이유로 인해 상세한 작성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침수피해지도를 전국이 아닌 일부 지자체에서만 작성함으로써 체계적인 구축이 지지부진 하다. 침수피해지도는 대피소 지정 등에 활용되고 있으나 자료가 부족해 실제 꼭 필요한 곳에 대피소 지정을 할 수 없는 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윤영일 의원은 "태풍발생으로 인하여 많은 침수지역이 발생했고 전남 완도 등 일부 군의 경우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됐다."면서 "인명피해를 예방하려면 꼭 필요한 곳에 대피소 지정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대피소 지정을 위한 침수피해지역 자료가 부족한 것은 문제"라며 "LX공사는 재해지도 총괄관리 전담기관으로 지정해 침수피해 발생 시 자동으로 침수피해지도를 작성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대안을 제시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