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연합, 환경부, 지자체, 사육곰농가협회
야생동물 활용 불법 근절 노력 결실 얻어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국내 곰 사육 종식 선언으로 일단락됐다.
곰 사육 종식 선언은 사육곰 보호에 대한 한 목소리 내온 녹색연합 등 시민단체들과 시민들이 이끌어낸 소중한 결실이다.
지난달 민관이 함께한 종식협약으로 웅담채취용 사육곰의 40년의 고통을 끝내고, 동물복지에 앞장서는 국가로 첫 걸음을 땠다.
협약식에는 한정애 환경부장관을 비롯해 구례군수, 서천군수, 사육곰농가협회, 시민단체(곰보금자리, 녹색연합, 동물자유연대, 동물권행동 카라)가 참여했다. 협약 효력은 2026년 1월 1일부터 곰 사육과 웅담 채취를 금지하고, 남아있는 사육곰은 민관이 보호하는 것으로 서명했다.
녹색연합은 지난 20년동안 사육곰 보호 활동을 펴왔다. 이같은 활동으로 사육곰 구하기 위한 특별법 제정을 위해 애썼다.


우경선 녹색연합 공동대표는 "웅담채취용 곰 사육 산업의 종식은 사육곰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구출에 참여해주신 시민 여러분들이 함께 만들어낸 성과"라며 "환경부의 선언을 시작으로 그동안의 소극적인 대응에서 벗어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특히 "남아있는 사육곰들이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도록 구례와 서천에 지어질 곰 보호시설이 제대로 된 국가 보호시설로써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우 공동대표는 "녹색연합은 남아있는 사육곰 보호와 불법 문제 해결과, 야생동물을 활용한 잔인하고 불법적인 산업 근절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20년동안 사육곰 산업종식을 위해 협력해온 국제동물보호단체 WAP(World Animal Protection)는 환영 성명을 보내왔다.
성명서에서 곰 사육 산업 종식 선언은 WAP과 녹색연합이 파트너로 꾸준히 캠페인을 하고 협력해온 성과다.
잔인한 웅담산업은, 대체 약초를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오늘날 현대 사회에 맞지 않다. 한국정부, 사육곰협회, 시민단체들이 손을 잡고 이처럼 중대한 결정을 내린 데에 박수를 보낸다.'고 밝혔다.
사육곰 산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지 벌써 40년이 지났다. 한때 1400여 마리까지 달했던 웅담채취용 사육곰은 지난해 기준으로 360마리가 남았다.
한국과 중국 단 두 나라에서만 합법이던 부끄럽고 잔인한 웅담채취용 사육곰 산업이 종식의 문을 열게 됐다.
한편 구례와 서천에 지어지는 곰 보호시설이 완공까지 빠르면 2025년쯤이다. 환경부의 남은 과제는 곰 사육 산업의 단계별 종식 방안을 해결해야 한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