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관로 원인 지반침하 2014년 59회서 지난해 약 6배 238회
한국상하수도협회, 59곳 지자체 하수관로 정비 추진 독려 지원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환경부가 중대결함을 가진 서울시 등 도심지에서 발생하는 지반침하(일명 싱크홀) 사고를 예방하려 2015년부터 진행해 온 노후 하수관 정밀조사를 바탕으로 '지반침하 대응 노후 하수관로 정비대책'을 추진 내용을 내놨다.
환경부에 따르면, 하수관에 의한 지반침하는 하수관의 특성상 대부분 소규모로 발생하지만 매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고 29일 밝혔다.
하수관은 매설심도가 1~2m로 비교적 낮고 관경이 작아 하수관에 의한 지반침하는 대부분 1m 미만의 소규모로 발생하고 있다.
환경부가 파악한 하수관로 원인 지반침하 현황을 보면 2014년 기준 총 59회에서 일년만에 3배가 늘어난 151회, 지난해는 약 6배인 238회로 나타났다.
▲하수관로 정비방향 |
이번 조치는 2014년 8월 송파구 석촌동 지반침하 사고를 계기로 정부 합동으로 마련한 '지반침하 예방대책'에 따라 2015년부터 올 1월까지 전국 102곳의 지자체를 통해 20년 이상 경과한 하수관 1만 5600km에 대해 정밀조사를 실시한 결과물이다.
환경부의 조사결과 파손, 천공 등으로 지반침하 사고의 원인인 동공(洞空)을 발생시킬 개연성이 큰 중대결함 하수관 약 7만6000개(4.9개/km)가 발견됐다.
하수관로가 금이 가 새는 경우는 빗물 등으로 상부 토양 유실이 되고 구멍이 나면서 결국 자동차 도로가 내려앉은 지반침하로 이어진다.
환경부는 하수관로 외부에 동공이 의심되는 지역에 대해 지반 투과 레이다 탐사(GPR: Ground Penetrating Radar) 등 추가로 조사(229km)했다. 이중 실제 동공 269개를 발견(정밀조사 전체 관로길이 대비 발견된 동공 수는 1.7개/100km)하고 긴급하게 정비를 완료했다.
이번 정밀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지반침하 사고의 원인이 되는 동공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중대결함을 가진 노후 하수관로를 5년에 걸쳐 교체·보수할 계획이다.
▲전체보수공사 시공내용, 2015 한강수계 하수관로정비사업 1~3단계 백서 발췌 |
중대결함이 있어 긴급하게 교체 보수를 해야 하는 하수관로는 전국 약 1290km(서울시 포함 시 1500km)로 인구와 차량 통행이 많아 지반침하 사고가 발생할 경우 피해 규모가 클 것으로 생각되는 대도시부터 단계적으로 정비를 시행할 계획이다.
인구와 차량 통행이 많아 지반침하 사고가 발생할 경우 피해 규모가 클 것으로 추정되는 대도시부터 단계적으로 정비를 시행할 계획이다.
이번 하수관 정밀조사를 실시하지 않은 59곳의 지자체도 자체적으로 시행한 기술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지반침하 사고 예방을 위한 하수관로 정비를 추진하도록 독려하고 지원할 방침이다.
대도시 경우 점차 노후화된 하수관로를 체계적인 관리는 필수다.
한국상하수도협회는 정보통신기술(ICT)을 기반으로 하수관로 운영관리 시스템을 가지고 하수관로 교체와 보수 등의 이력을 관리하고 잔존수명을 과학적으로 평가하는 자산관리 시스템을 도입하는 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