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현천 공공주택지구 지정 추진 전면 백지화 촉구
상암동에 비산먼지 등 피해 자명… 협의 없어 유감
"결정 백지화하고 고물상 포함 이전 적정부지 마련"
[환경데일리 문종민 기자]박강수 마포구청장이 27일, 구청에서 '고양현천 공공주택지구 지정 추진 전면 백지화 촉구' 특별 성명서를 발표했다.
![]() |
▲박강수 마포구청장 |
이같은 배경에는 오랫동안 고양시와 마포구청 사이 쌓였던 앙금도 작용했다.
3기 신도시 건설에 따른 환경관련 혐오시설을 이전을 해야 한다. 하지마 주민들의 거센 반발로 이전이 쉽지 않는 상황이다.
3기 창릉신도시 공공주택지구 내 서울시에서 쫓겨나 오고갈때가 없던 레미콘 공장을 비롯해 고철‧파지 수거중간업체 등 무려 350~500여 업체가 밀집돼 있다.
신도시 건설을 위해서는 불가피하게 타 지역으로 이전을 해야 공사에 차질이 없다.
고양시와 국토교통부, LH공사는 이들 업체에 대해 인근 현천동으로 이전을 추진하면서 바로 옆동네 마포구 입장에서는 '고양현천 공공주택지구 지정' 결정은 발 등 위 불똥이 떨어진 셈이 됐다.
이렇다보니, 민선8기 출범과 동시에 마포구 주민에게 선언한 주민이 기피하는 반환경적인 시설에 대해서는 어떤 식으로든지 정리를 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췄다.
하지만 창릉 공공주택지구 내 있는 업체 이전이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전면 백지화와, 현천동에 산재한 고물상까지 포함해 함께 이전 할 수 있는 적정 부지를 마련해 달라고 주장하게 됐다.
▲고양특례시 덕양구 현천동, 창릉동 등 덕은지구와 서울시 마포구 경계 사이에 환경관련 기피시설에 밀집돼 이를 이전을 놓고 두 지 자체간의 갈등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 지도 발췌 |
이날 박 구청장은 "고양시 현천동 인근에 이미 덕은지구 4700세대, 향동지구 8300세대, 상암 1만1300세대, 수색‧증산 1만3600세대 등 창릉지구 공급물량인 3만8000호에 버금가는 대규모 공동주택단지가 조성돼 있다."면서 "레미콘 공장 등이 현천동으로 이전하면 수만 명의 주민이 비산먼지, 환경오염 등의 피해를 고스란히 입게 될 것이 자명함에도 마포구 등 주변 지역 관계기관과 아무런 사전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절차를 진행한 것에 대해 매우 심각한 우려와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공교롭게 고양특례시는 '2035년 고양도시기본계획'을 보면, 마포 상암 디지털미디어시티 DMC 옆에 덕은미디어밸리 조성을 통한 방송영상산업 육성 전력을 발표했다. 일대와 경계를 접한 밀집한 지역와 겹치게 된다.
박 구청장은 "두 지역의 특성을 연계 개발할 경우 동반 성장을 통한 지역발전을 이끌어낼 수 있음에도 레미콘 공장 등 환경 위해 시설을 이전하는 것은 눈앞의 문제해결에만 치중한 미봉책"이라 지적했다.
또 "마포구 청소 중간집하장 맞은편에 덕은지구가 조성됨에 따라, 행정구역은 달라도 입주민 불편 최소화가 먼저라는 구 정책 하에 18억 원 규모의 시설개선 공사를 추진하고 있는 우리 구로서는 정부와 고양시의 이러한 결정에 대해 착잡한 마음을 금할 수가 없다."고 반박했다.
박 구청장은 "이제라도 창릉 공공주택지구 내 기존 기업 이전 부지와 관련한 고양현천 공공주택지구 지정 결정을 전면 백지화하고 창릉지구의 업체는 물론 현재 현천동에 있는 고물상까지 함께 이전 가능한 적정 부지를 마련하는 것이 근본적인 대책"이라고 거듭 촉구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