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녹색분류체계 확산 녹색금융 활성 기대
산업은행, 기업, 국민, 신한, 하나, 농협 참여
한수원, 현대캐피탈, 녹색채권 4500억 원 발행
난부발전, 중부발전 600억 원 재원 마련 서명
한화진 장관 "금융권 산업계 역할 참여 당부"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민관이 하나돼, 녹색프로젝트 완성도를 끌어올린다. 이를 바탕으로 녹색채원을 발행하게 된다.
금융권에서 한국산업은행, 기업, 국민, 신한, 하나, 농협은행은 태양광, 풍력 발전사업인 신재생에너지와 바이오매스 발전사업, 수소생산을 위한 암모니아 활용 수소연료전지 사업을 종잣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녹색채권 발행을 하게 된다.
이들 금융권은 폐기물 순환경제를 정착 차원에서 소재 부품 장비 제조 지원과 전기자동차 2차 전지 제조까지 책임을 지고 지원을 확대한다. 발행금액만 7500억 원에 달한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신규 양수발전사업과 태양광, 풍력을 위해 500억 원을 투자한다. 현대캐피탈은 친환경차량 금융서비스를 위해 4000억 원이 녹색채권을 발행할 예정이다.
한전 발전자회사중 남동발전은 해양 탄소흡수원 활용 차원에서 블루카본 사업과 신재생에너지에 200억 원을, 중부발전은 해수욕장 복원공사와 친환경차 운송 인프라 구축 운영을 위해 400억 원 재원마련 차원에서 녹색채권 발행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한국형 녹색분류체계의 신속한 안착을 돕기 위해 녹색 금융 활성화 및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하는데 실천 시범사업 협약을 맺었다.
14일 오후 서울 밀레니엄 힐튼호텔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금융위원회, 한국산업은행, 기업은행, 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농협은행,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중부발전, 한국남동발전, 현대캐피탈이 서명했다.
앞서 환경부는 지난해 12월 30일 녹색경제활동을 정의하는 지침서인 '한국형 녹색분류체계를 발표'해 녹색금융 투자 촉진 및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한국형 녹색분류체계는 온실가스 감축 기후변화 적응 등 6대 환경 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녹색경제활동을 분류한 것으로 녹색경제 활동에 대한 명확한 원칙과 기준이 담겼다. 6대 목표는 온실가스 감축, 기후변화 적응, 물 지속가능한 보전, 자원순환, 오염방지 및 관리, 생뭉다양성 보전이다.
앞으로 한국산업은행과 신한은행 역할은 녹색분류체계를 활용한 녹색 정책금융 활성화 사업에 참여한 기업들에게 일부 경제활동에 저금리 융자를 제공하고 있다.
이날 협약식에 한화진 장관을 비롯해 주요 은행 및 기업 대표들이 한국형 녹색분류 체계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협동 의지를 표명한다.
또 시범사업에 참여 중인 은행은 한국형 녹색분류체계를 적용한 금융상품 개발 등을 통해 금융권 녹색분류체계 적용 확산에 앞장설 예정이다. 참여 기업은 한국형 녹색분류체계에 적합한 신규 사업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관련 녹색채권을 발행해 녹색금융 생태계 조성에 도움을 줄 계획이다.
환경부는 협약에 참여한 기관의 시범사업을 통해 한국형 녹색분류 체계의 시장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보완사항 도출 및 유인책 인센티브 발굴 등 제도 정비를 추진할 예정이다.
KEITI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한국형 녹색분류체계의 빠른 정착을 위해 시범사업 협의체 운영을 맡으며 은행 및 ESG경영에 집중하도록 밀착 지원한다.
이 자리에서 한화진 장관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한국형 녹색분류체계가 우리 사회 전반의 녹색 전환을 이끄는 핵심 수단이 될 수 있도록 정책을 마련하겠다."며 "금융권과 산업계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한국형 , 녹색금융제도 활성화를 위해 관련 업계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겠다."고 말했다.
기술원 관계자는 "녹색채권 발행을 통해 녹색위장행위(그린워싱)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고, 민간 및 공공 자금이 녹색사업이나 녹색기술 등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개발에 기여하는데 목적을 담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