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통일부, 국방부, 경기도 지원 협력 필수
고양, 경기 서북부 3개 도시 남북환경 모델 구상
새 정부 국정과제 '남북 그린데탕트' 변화 기대
▲임진강변 재두루미와 두루미 |
[환경데일리 문종민 기자]한강하구의 생태근원지인 장항습지를 중심으로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그리고 북한과 함께 새로운 남북교류협력을 이루자는 제안이 나왔다.
고양시정연구원은 장항습지를 중심으로 인근 접경도시인 김포시, 파주시와 남북교류협력 방안 등을 담은 '고양시 남북 환경.생태 협력 방안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새 정부 대북정책의 핵심인 '담대한 구상'과 국정과제이기도 한 '남북 그린데탕트'의 강조에 따라 민선 8기 고양시 남북교류협력 정책을 중앙정부 정책의 변화에 대응하는 한편, 장항습지를 활용한 새로운 남북교류협력 방안을 도출했다.
구체적으로는 한강하구를 중심으로 가장 활발한 남북 환경.생태협력을 수행했던 김포시, '산남습지'라는 좋은 자원을 가진 파주시와 협력해 고양시는 물론 경기 서북부 3개 도시 간 남북환경.생태협력 모델을 구상했다.
한강하구의 습지보호지역은 고양시의 장항습지, 김포시의 시암리습지, 파주시의 산남습지로 구성돼 있는데, 이들 습지는 습지보전법에 의해 지정·고시된 지역으로, 각각의 습지는 멸종위기종 Ⅱ급 재두루미, 큰기러기, 개리 등에게 서식·월동 환경을 제공하는 주요생태자원이다.
한강하구는 1953년 정전협정 제1조 제5항에서 쌍방 민간선박의 항행 개방을 규정하고 있는 '한반도 유일의 중립수역'으로서의 지정학적 특성을 내포하고 있어 남북협력이 가능한 지대라 할 수 있다.
한강하구 3개 시와 북한이 공동으로 한강하구 습지의 보전과 이용에 관해 협력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습지의 보전과 이용, 나아가 개발에 관해서는 각 시와 북한의 이해관계가 상충할 수도 있으므로 남한의 3개 시 간의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중요하다.
파주시 역시 다양한 환경시민단체의 활약이 매년 이뤄지고 있다. 그 중 하나인 임진강생태보존회는 국내에서 가장 먼저 독수리 월동으로 파주에 오는 것을 확인하고 6년 전부터 독수리 식당을 차리고 이들에게 충분한 먹이를 주고 있다.
윤도영 보존회 부회장은 "남북간 다양한 새들은 오고가는 교류하고 있지만, 정작 DMZ보호와 함께 생태계를 지키는 것은 여전히 대치상황이라며 멸종위기종 보호는 미래의 한반도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는 일"이라며 "올해도 어김없이 열리는 독수리 식당에 많은 관심을 당부한다."고 말했다.
안지호 연구위원은 "통합적인 한강하구 정책협의체는 경기 서북부 3개 시장을 공동의장단으로 하고, 정책자문단과 정책연구협의회에서 구체적인 사업안을 도출하며, 한강하구 협력사업단에서 사업을 집행하는 체계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특히 한강하구 거버넌스의 효과적 구축을 위해서는 정부 및 경기도의 지원과 협력이 필수적인 만큼, 관련 중앙부처(통일부, 환경부, 해양수산부, 국방부 등), 경기도와 한강하구 정책협의체 간 유기적 협조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며, 동아시아 람사르지역센터,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로 파트너쉽,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등 국제기구와의 네트워킹을 강화하고 국제 환경협력을 통한 남북협력을 모색할 필요도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