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한 생활화학제품만 유통 신고 강화
기업·소비자 지원 가습기 유사사고 예방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생활 속 화학물질이 넘쳐나면서 좀 더 촘촘하게 강화된 제조에서 유통에 이르기까지 관리감독하기 위한 안전센터가 개소됐다.
이번 안전센터는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KEITI)이 함께 생활속 화학제품의 관리와 소비자 지원을 전담하게 된다.
이를 위해 20일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 안전센터'의 현판식이 환경산업기술원 본원에서 진행됐다.
이날 현판식은 KEITI 남광희 원장과 환경부 하미나 환경보건정책관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
안전센터 설립 근거는 2019년 1월 1일부터 시행하는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조직됐다.
특히 안전센터는 가습기살균제와 같은 화학제품 사전 사고 예방과 신속한 사고대응 지원을 우선적으로 한다.
또한 제품유통 관리를 위한 국민들의 알권리 차원의 정보 관리를 통해 국민들이 화학제품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센터는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에 대한 신고접수와 기업 및 소비자 교육 등을 수행한다.
앞으로 국내외 기업들은 국내 유통되는 생활화학제품을 신고하지 않으면 판매할 수 없게 되며, 소비자들은 더욱더 안전하게 생활화학제품을 소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부는 장관이름으로 위해성 평가를 한 결과 위해성이 있다고 인정돼 지정‧고시한 세정제, 세탁세제, 표백제 등 생활화학제품으로 35개 품목 지정했다.
안전센터는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의 성분과 안전성을 확인하고 기업의 안전한 제품 생산을 지원한다.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을 생산하고 유통하는 기업들은 신고를 위해 시험분석전문기관이 안전성을 확인한 시험성적서와 일반정보를 화학제품관리시스템(http://chemp.me.go.kr)으로 제출하게 된다.
안전센터는 기업이 제출한 정보를 바탕으로 안전·표시기준 준수여부를 확인하며, 부적합한 제품의 개선을 위한 안내, 교육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남광희 KEITI 원장은 "기업 및 시민사회와 협력을 통해 생활화학제품을 관리해 국민들의 건강과 안전 증진에 더욱 매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