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탈 소재 퀀텀닷 적용으로 화질의 새로운 차원 열어
화질, 디자인, 사용성 등 모든 측면 완벽 시청 제공
[환경데일리 최인배 기자]삼성전자가 또 하나의 명품 2017형 TV 신제품을 내놨다.
삼성전자가 3일(현지시간) 라스베이거스 킵 메모리 얼라이브(Keep Memory Alive) 센터에서 전 세계 200여 미디어가 모인 가운데 메탈소재를 적용한 새로운 퀀텀닷 기술로 화질의 기준을 새롭게 정의할 차세대 디스플레이를 'QLED'로 명명하고 삼성 QLED TV 88형 Q9F, 75형 Q8C 등을 선보였다.
이 자리에서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김현석 사장은 "2017년에는 QLED가 TV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꿀 것이다."며 "삼성 QLED TV는 초고화질 시청 경험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HDR(High Dynamic Range) 구현에 최적화된 제품으로 이제 TV 시장에서 더 이상의 화질 경쟁은 무의미할 것이다."고 말했다.
김 사장은 "앞으로는 사용성, 디자인 등 모든 측면에서 소비자들의 불편을 완벽하게 해소해 주는 것이 좋은 TV의 기준이며, 삼성 QLED TV가 그 기준을 만들어 갈 것이다."고 강조했다.
삼성 QLED TV는 퀀텀닷 입자에 메탈을 적용하는 새로운 기술로 화질의 수준을 대폭 높였다.
이 제품은 헐리우드 스튜디오들의 콘텐츠 제작 기준인 DCI-P3 색영역을 정확하게 구현할 뿐만 아니라 이보다 더 세밀한 기준인 컬러 볼륨까지 100% 구현한 세계 최초의 TV이다.
컬러 볼륨은 밝기에 따른 미세한 색 차이를 표현하는 능력을 말한다. 예를 들어 같은 나뭇잎이라도 빛에 따라 연두색에서 짙은 녹색에 이르기까지 그 색채가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다.
삼성 QLED TV는 메탈 퀀텀닷 기술로 기존 2차원 색 좌표에서는 구분하기 힘들었던 차이까지 표현할 수 있게 됐다.
삼성 QLED TV는 입체감이 살아있는 풍부한 색을 표현하면서도 최고 밝기가 1500~2000 니트(nits)를 구현해 자연에 보다 더 가까운 밝은 빛을 낼 수 있다. 이것은 색 표현 범위를 넓히기 위해서는 밝기 저하를 감수해야 한다는 기존 상식을 깨는 핵심 기술이다.
이 기술은 밝기를 높이면 색의 정확도가 떨어진다거나 정확한 색을 표현하려면 시야각의 문제가 발생하는 등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는 핵심이다.
또한, 삼성 QLED TV는 메탈 퀀텀닷 기술로 인해 더 깊은 블랙을 표현할 수 있고 TV 시청 시 주변조명에 영향을 받지 않고 밝거나 어두운 어떤 장면에서도 디테일을 놓치지 않는다.
이번 신제품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새로워진 퀀텀닷에 최적화된 패널 구조로 어느 위치에서나 색의 왜곡없이 감상할 수 있도록 넓은 시야각을 구현했다는 점이다.
삼성 QLED TV는 기존 디스플레이들의 단점을 개선하고 장점은 강화 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가장 이상적인 시청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신제품은 단순히 제품 자체의 미적 가치 외에 사용자의 생활공간을 종합적으로 배려한 디자인이 인상적이다.
삼성 QLED TV는 삼성 프리미엄 TV의 특징 중 하나인 베젤리스 화면과 클린백 디자인 컨셉을 강화하고 주변 기기를 투명 케이블인 인비저블 커넥션(Invisible Connection)으로 연결 TV 주변에 엉켜 있던 기기들과 연결선들이 눈에 띄지 않도록 했다.
벽걸이형 제품의 경우, 노 갭(No-gap) 월마운트 디자인을 적용 TV를 벽에 완전히 밀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과정의 어려움과 시간도 대폭 줄여 누구나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360 디자인으로 TV가 집안의 훌륭한 오브제가 될 수 있도록 TV 스탠드 디자인을 다양화했다.
2017년형 스마트 TV는 더 편리해지고 더 풍부한 콘텐츠를 갖췄다.
사용자들은 라이브 방송과 VoD(주문형 비디오) 서비스 등 보고 싶은 콘텐츠를 TV의 스마트 허브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일관되게 구성한 스마트뷰(Smart View) 모바일 앱을 통해 클릭 한번으로 TV에서 즐길 수 있고 푸쉬 알림 기능을 통해 즐겨 보는 콘텐츠를 받아볼 수 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