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기술로 인적 차량 운행 시설 등 6개 분야
철도시설공단, 코레일, 메트로, 서울도시철도 등 TF팀 구성
특히 교량 밑 부분까지 꼼꼼히 살피는 등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과 같은 스마트한 기술을 이용해 철도 환경을 더욱 안전하게 만들 기본계획이다.
이같은 청사진을 국토교통부가 올해 11월까지 마련할 계획이다고 7일 밝혔다.
국내 철도안전 지표는 관계기관의 지속적인 노력에 힘입어 선진국 수준에 도달했으나 지난해 열차 탈선사고, 승강장 안전문 사고 등이 빈발함에 따라 국민의 불안감은 여전히 높은 편이다.
국토부가 밝힌 2015년 기준 열차운행 1억km 당 주요 철도사고 발생 건수는 영국 1.6건, 스위스 4.7건, 한국 7.2건, 독일 10.9건, 스웨덴 11.5건, 네덜란드 14.8건, 프랑스 17.6건으로 나타났다.
최근 집중호우, 폭염 등 기상이변, 지진발생 등 자연재난의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있어 선제적인 안전관리도 중요해지고 있다. 이번에 마련할 스마트 철도안전 기본계획은 국내 철도안전 수준을 한 단계 더 도약시키고 철도안전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난해 7월 영동선 무궁화호 탈선 사고(집중호우로 낙석), 이어서 9월 경주지진 발생으로 운행에 장애를 받았다.
국토부는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 4차 산업혁명의 첨단기술을 활용해 기존 통계를 분석, 향후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사고에 적극 대비하고 집중 관리를 할 것이다. 또한 문제 상황 발생 시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사물인터넷을 활용해 안전 관리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스마트 철도안전 기본계획의 대상 분야는 전문가와 관계기관의 의견을 수렴해 인적관리, 차량관리, 운행관리, 시설관리, 보안 관리의 6개 분야를 선정했다.
국토부는 4차 산업혁명 기술과 철도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스마트 철도안전 기본계획을 체계적으로 수립하고자 철도연구원에 위탁해 '스마트 철도안전관리시스템 기본계획 수립 연구' 용역에 착수했으며 지난달 28일에 용역 보고회를 개최했다.
이와 더불어 철도안전정책관을 팀장으로 국토부, 4차 산업혁명 전문가, 철도연구기관 연구원, 철도운영자·시설관리자를 중심으로 임시 T/F팀(철도시설공단, 코레일, 서울메트로, 서울도시철도, 부산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 등) 구성을 다양한 의견도 수렴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 남영우 철도안전정책과장은 "철도는 하나의 작은 실수가 대규모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첨단 안전 기술이 가장 먼저 적용돼야 하는 분야 중 하나"라며 "이러한 점에서 올해 마련될 스마트 철도안전 기본계획은 향후 우리나라 철도안전 분야의 체질을 개선하는 중요한 계기될 수 있도록 실효성 높은 계획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