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화력발전소 있는 영흥도 십리도해변서 수중 연설
공약 '자원순환 친수도시' 해수면 해수온도 상승 문제
탄소 규제·공유지분형 그린 뉴딜·자원순환사업 육성
[환경데일리 고용철 기자]"이대로 해수면 상승하면 영흥도뿐만 아니라 인천국제공항도 이번 세기 안에 잠긴다."
![]() |
▲김한별 기본소득당 인천시장 후보 |
김한별 기본소득당 인천광역시장 후보는 21일 '자원순환 친수도시'를 5호 공약으로 발표하면서 영흥도 십리도해변 앞바다에 직접 들어가는 수중 연설을 펼쳤다.
김 후보의 이번 수중 연설은 2021년 섬나라 투발루의 '수중 연설'에서 비롯했다. 당시 투발루의 외무장관 사이먼 코페는 수몰 위기에 놓인 자국의 현실을 알리기 위해 수중 연설을 진행했다. 기후위기로 인해 해수면과 해수온도 상승 문제가 대두되는 인천의 상황을 빗댄 것이다. 이 날 수중 연설이 진행된 영흥도는 화력발전소가 모여 있는 곳이다.
김 후보는 그간 인천 행정의 소극적인 기후위기 대응을 지적하고 "이대로 해수면이 상승되면 이곳 영흥도뿐만 아니라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도 이번 세기 안에 침수될 것"이라며 "탄소 규제 정책과 공유지분형 재생에너지 뉴딜, 자원순환사업 육성으로 진짜 친수도시인 '자원순환 친수도시'를 만들겠다."고 취지를 밝혔다.
김 후보의 '자원순환 친수도시' 공약은 크게 두 축으로 나뉜다. 먼저, 2030탈석탄·2040탈탄소 달성을 목표로 신속한 탄소배출 규제와 재생에너지 전환을 이룬다는 입장이다. ▲영흥화력발전소 조기폐쇄 ▲공유지분형 그린뉴딜로 재생에너지 비중 40%까지 확대 ▲해양생태 보존활동 참여수당 ▲도심 내 내연기관 이동속도 30km 제한 ▲건물 온실가스 총량제 시행 등이 대표적이다.
다른 하나는 자원순환 중심산업 육성이다. ▲수도권 매립지 2050년 사용종료 후 친환경 자원순환정책 기조로 전환 ▲북서권 산업단지에 순환경제개발센터 구축·자원순환경제단지 추진 ▲자원 재활용 및 재사용 산업 R&D 및 산업육성 역점 추진 ▲4대 폐기물(플라스틱·폐지·유리·타이어) 대상 안정적인 자원순환 시스템 구축 ▲공영 친환경 플리마켓 설립 및 인천e음카드 활용 중고 거래 활성화 등으로 인천을 수도권 매립지에서 순환경제 중심지로 탈바꿈한다는 계획이다.
김 후보는 현 상황이 수도권 내 인천이 물류·발전·매립을 떠맡은 보조적 역할에서 비롯됐다는 점을 지적해 눈길을 끌었다.
김 후보는 "인천은 서울·경기와 함께 수도권으로 분류됨에도 늘 보조적 역할을 담당해왔다."며, "인천이 그간 쌓아온 역량을 바탕으로 재생에너지 중심 도시, 자원순환경제 도시로 기후위기를 극복하는 글로벌 선진 도시로 거듭나야 한다."며 강조했다.
현 정부의 기후정책을 '명백히 퇴행적'이라고 평가하며 "인천 시민의 숙원 현안인 영흥화력발전소 조기 폐쇄도, 수도권 쓰레기매립지 중단도 수포로 돌리려고 한다."고 비판했다.
또 "단지 (현 정부의 기후정책을) 막아내는 것을 넘어 그 이후를 선명하게 그려내는 정치"를 만들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