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 순환여과양식시스템 기술 덴마크, 영국, 독일 채택
외부환경 따른 수온 변화에도 양식생물 빠른 성장 유도
[환경데일리 한영익 기자]국내 수산업계 발전을 지원하는 국립수산과학이 날로 일취월장하고 있다.
덴마크는 해상가두리에서 양식하고 있는 연어과어류를 육상 순환여과양식으로 전환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고, 영국·독일에서도 고부가가치어종의 순환여과양식 기술개발에 노력하고 있다.
이와 버금가는 국립수산과학원은 자연재해로부터 안정적인 양식생산을 위해 한국형 해수 순환여과양식시스템 기술의 현장적용과 상용화를 추진한다
![]() |
| ▲국립수산과학원이 자연재해로부터 안정적인 양식생산을 위해 한국형 해수 순환여과양식시스템 기술의 현장적용과 상용화를 추진한다 |
국내 넙치양식장은 바닷물을 직접 사육수로 사용 후 다시 배출하는 유수(流水)식으로 사육하고 있어 고수온·냉수대·적조 등 자연재해와 질병으로 매년 큰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첨단 해수순환여과양식시스템 기술을 우선적으로 넙치양식 현장에 적용해 양식생물의 성장 및 질병 대응 효과 조사·연구를 통해 현장 보급형 기술을 개발하기로 했다.
▲해양수산부는 지난달 공개한 친환경에너지 보급과 인공 양식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히트펌프를 설치 보급하는데 큰 성과를 끌어 올릴 수 있다고 밝혔다. |
개발된 특허기술은 사용된 사육수 내 고형물의 효율적인 수거 및 살균처리를 통해 70% 이상의 물을 다시 사용할 수 있어 용수(用水) 절감에 따른 펌프 사용에너지 절감은 물론, 적정 사육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됐다.
외부환경에 따른 수온 변화에도 구애받지 않고 지속적으로 사료를 공급할 수 있어 양식생물의 빠른 성장을 유도해 생산경비 절감 효과도 있다.
그동안 개발된 해수순환여과양식시스템 관련 기술은 현장적용 연구에 확대추진하고, 특허기술 중 4건은 산업체 기술이전을 통해 양식현장에 보급될 예정이다.
명정인 전략양식부장은 "국내에 적용될 첨단 순환여과양식시스템은 경제성과 환경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친환경 양식시스템으로 상업화를 위해 적극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