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인도네이사, EU 바이오연료 문제 진단
기후솔루션, 환경운동연합, 공익법센터 어필 함께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사단법인)기후솔루션은 24일 오전 10시부터 '아시아 바이오에너지 무역과 공급망 리스크에 대한 이해' 온라인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바이오에너지 원료이 수출입과 관련한 사회, 환경, 경제적 리스크에 대해 알아보고, 해외사례와 시민사회의 대응활동을 공유하는 자리다.
이번 세미나는 기후솔루션, 환경운동연합, 공익법센터 어필이 함께하고 세미나 진행은 영어, 한국어(동시통역)로 제공된다.
발제는 총 4개 분야로 ▲대한민국 바이오에너지 무역과 생산지의 공급 위험요소 개괄(김수진 기후솔루션) ▲베트남 바이오매스 생산 공급량에 대한 이해 및 위험요소(Phuc Xuan To, The Forest Trend) ▲인도네시아 바이오연료 새산 관련 공급량에 대한 이해 및 위험요소, 한국 기업 문제점(Christopher Wiggs, Aidenvironment) ▲EU바이오매스 및 바이오연료 무역과 공급망 위험요소 정책적 이해(Almuth Ernsting, 바이오연료 워치 Biofuel Watch) 에 각각 발표한다.
질의 지정토론은 '한국, 인도네시아, 미국의 시민사회 대응 및 주요 이슈 분석'을 가지고, 김혜린(환경운동연합) 좌장으로 정신영(공익법센터 어필), 쿠르니아완 사바(Kurniawan Sabar) 인디스(INDIES) 디렉터, 리타 포러스트(Rita Frost, 비영리 환경단체 Dogwood Alliance)에 자리한다.
국내 보기 드물고 세미나에 발언권을 가지고 나선 바이오연료감시기구(Biofuelwatch)는 영국과 미국에 본부를 둔 비정부 환경단체로, 영국에서 생물 액체 및 바이오매스 발전소와 이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보조금(갱신 의무 증명서)을 반대하는 캠페인을 활발하게 전개하고 있다.
미국에서 바이오 연료 워치는 산업 바이오매스 개발과 정책에 반대하는 단체 및 운동가들의 네트워크와 긴밀하게 협력한다. 특히 기후 변화에 대한 시장 기반 솔루션, 특히 토양과 산림 탄소 배출량을 포함하는 것에 반대하는 캠페인을 벌이기도 하다.
비영리 환경 단체인 'Dogwood Alliance' 역시, 그간 기후 변화에 진전을 이룰 중요한 기회는 벌목과 지속 가능하지 않은 나무 사용을 줄인다면, 숲이 대기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동시에 이산화탄소가 계속해서 건강한 숲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고 주장을 펴왔다.
선언문 내용은 우리나라 재생에너지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바이오에너지는 국내외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바이오에너지 원료의 수출입과 관련한 사회, 환경, 경제적 리스크에 자각하고 나아가 환경과 기후, 인권을 해치는 잘못된 바이오에너지 정책에 대한 시민사회의 입장을 전달하고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과 산림파괴, 인권 문제에 관심사를 선언을 담을 예정이다.
사전등록 링크: https://zoom.us/webinar/register/WN_TImHbaBATbCvBst5dFuT6A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