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9년까지 980만달러 한국 재활용 정책 전수
그린벤처존 구축, 리사이클링/업사이클링 은행
포카라 관광도시 넘어 지속가능 친환경 도시로
[환경데일리 고용철 기자]포카라 친환경 도시 도약 돕는다.
천혜의 자연경관으로 전 세계인의 '여행 버킷리스트'로 손꼽히는 네팔 포카라시의 환경 보존을 위한 프로젝트가 우리 정부 무상원조의 하나로 추진된다.
코이카(KOICA, 한국국제협력단)는 13일 오후(현지 시각) 네팔 포카라시 정부 청사에서 포카라시 정부와 '네팔 포카라시 리사이클/업사이클 플랫폼 및 친환경 시범 마을 구축 녹색일자리 창출사업'의 상호 협약서를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네팔의 대표적인 관광도시 포카라는 네팔에서 카트만두 다음으로 두 번째로 큰 도시다. 포카라는 히말라야 산악 등산로의 출발점으로 많은 여행객이 찾고 있다.

코이카는 네팔에 지속가능한 폐기물 관리를 위한 자원순환 모델을 도입해 장기적으로 네팔 경제 성장에 기여하기 위해 신규 그린 ODA 사업인 '네팔 포카라시 리사이클/업사이클 플랫폼 및 친환경 시범 마을 구축을 통한 녹색일자리 창출사업'을 2023년부터 2029년까지 980만달러 규모로 추진한다.
코이카는 네팔에 자원순환 경제체제를 구축하고 분리수거, 재활용부터 새활용(업사이클)까지 시민의식이 성숙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환경교육을 지원함과 더불어, 쓰레기를 최소화하는 의식주 생활과 녹색일자리를 만들어 나가는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세부적으로 ▲포카라시 폐기물 관리 정책과 전략 개선 ▲친환경 시범 마을을 조성해 폐기물 분류 기준 및 방법에 대한 교육과 인식 제고 활동을 펼친다.

그린벤처존은 리사이클링/업사이클링 소재 은행, 리사이클링/업사이클링 전시 및 체험 공간, 판매 공간, 기업 입주 공간, 교육 공간 등을 포함하는 복합문화공간을 말한다. 이곳을 통해 이뤄질 사업의 주요 성과인 녹색일자리 창출과 친환경 분야 스타트업(버려지는 재료를 활용한 친환경 수공예, 업사이클 조명기구 등)의 인큐베이팅 공간이자 보유 기술 및 상품 전시/판매 공간으로서 기능하다.
또 방문객 대상 친환경 인식 제고 프로그램 추진, 국제 환경 행사 개최 등을 통해 생태관광(에코투어리즘)과 연계해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대한민국의 재활용 기술력과 시스템, 노하우가 녹아들어 구축될 그린벤처존이 네팔 재활용 생태계의 구심점이 돼 네팔 정부와 기업, 개인의 환경에 대한 공통된 인식 제고를 꾀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날 상호 협약서 체결식에 이윤영 코이카 경영전략본부 이사, 다나 라즈 아차리야(Dhana Raj Acharya) 포카라시장, 아이샤니 메다간고다 라베(Ayshanie Medagangoda-Labé) 유엔개발계획(UNDP) 네팔사무소장 등이 참석했다.

네팔 정부는 제15차 개발계획 수립을 통해 폐기물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2021년 9월경 개발파트너들과 'GRID 카트만두 선언'을 채택해 환경친화적, 회복 탄력적, 포용적인 개발을 네팔 개발협력 생태계의 핵심 의제로 협의한 바 있다.
코이카는 네팔이 경제사회발전을 이룩해 2030년까지 중소득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그린 ODA뿐만 아니라 물관리 및 보건위생, 교육, 지역개발,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원을 이어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