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강도 플라스틱 제조 원료 사용, K-플라스틱 구매협약
폐기물 가스화 처리후 합성가스 이용 그린메탄올 생산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플라젠(대표 경국현)은 경상남도 창원시와 강원도 동해시에 연간 1만 톤 규모 그린메탄올 생산 공장 설립을 추진중에 있다.
앞서 2022년 11월에 메탄올 합성기술 관련한 협약체결과 2023년 1월에 동해 북평산업단지 내 부지선정은 확정됐다.
그린메탄올 생산 공장 기본설계가 진행 중에 있으며 타당성 평가 및 인허가 승인 절차가 진행될 예정이다. 생산된 그린메탄올은 부산항으로 운송돼 선박연료 활용 및 국내 화학공장으로 운송돼 엔지니어링(고강도) 플라스틱 제조 원료로 사용될 예정이며 지난해 11월 K-플라스틱과의 구매협약을 체결했다.
국제해사기구(IMO)는 2008년 해운업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기준 2050년까지 100%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다양한 규제를 적용하고 있다. 현재 EU는 단계별로 이행중에 있다. 2012년에 8% 감축, 2020년에는 20% 감축, 2030년까지 40% 감축하는 것으로 강화하고 최근 2050년까지 탄소 순배출량을 ‘0’(zero)으로 감축하는 목표를 제시했다.
![]() |
세계 곳곳에서 친환경 연료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IMO는 2050년까지 달성할 탄소배출 감축목표를 2008년(배출량 2800만톤) 대비 50%에서 100%(넷제로, Net-zero) 상향하기로 했다.
또한 세계 글로벌 기업 탈탄소화의 가속화로 Maersk(세계 최대규모의 덴마크 해운사) 및 CMA(프랑스 해운사)는 탈탄소화 목표수립(향후 5년간 미화 15억 달러 투자)했다.
국내 HMM은 메탄올선박 7척에 대한 건조 계약을 체결했고 그 금액은 1조 1000억원 규모다. KSS해운은 2022년 10월에 5만 톤급 메탄올 추진 선박 사보네타 선호를 현대미포 조선으로 인수했다.
또한 IMO가 2050년 국제해운 탄소배출 감축목표를 기존 50%에서 100%로 상향함으로써, 정부는 우선 IMO 등의 규제 대상인 5000톤 급 이상 외항선 867척을 대상으로 노후선 대체 건조 시 친환경 연료 선박으로의 전환을 추진한다.
세계 메탄올 시장 규모는 매년 약 1억톤의 메탄올이 생산된다. 2020년 메탄올 실제 생산량은 1억톤이고, 2050년 메탄올의 수요는 5억톤 이상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중 바이오메탄올과 기타 그린 화학산업부산물은 각각 증가량의 1억 3500만톤과 2억 5000만톤을 차지할 것이다.
플라젠은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해 타르 농도가 현저하게 낮은 합성가스를 생산하며, 이로부터 그린에너지의 원천인 그린수소 및 메탄올을 생산하는 업체이다. 이때 생산되는 합성가스는 주요 성분으로는 수소,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등으로 구성된다.
폐기물 가스화 처리후 합성가스를 이용한 그린메탄올을 생산 할 수 있고, 폐기물 1톤당 그린메탄올 300kg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하수슬러지, 음식물쓰레기 및 폐목 등을 동사의 특허기술인 이중유동층 가스화 열분해를 통해 처리시 현재 매립 및 소각 방식과 비교시 잔여물질이 없고 처리비용 절감이 가능하며 다이옥신 배출이 없고 온실가스 저감이 가능하다.
경국현 대표이사는 "플라젠은 환경오염이 없는 그린수소와 그린메탄올을 생산 및 공급하고 친환경 에너지 신사업을 추진해 쓰레기 자원화를 통한 ESG 가치경영을 실천하고 수소경제 확산에도 적극 기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